김승유 "한국의 전통美, 레고 블록으로 전 세계에 알리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Zoom In - 김승유 레고공인작가 인터뷰
전 세계 23명만 '레고 장인' 인증
"반 고흐부터 수원 화성까지 구현
레고로 실물 집 만드는 게 목표"
전 세계 23명만 '레고 장인' 인증
"반 고흐부터 수원 화성까지 구현
레고로 실물 집 만드는 게 목표"
지난 3일 서울 역삼동 레고코리아 본사 13층. 사무실로 들어서자 가로 5m, 세로 1.2m 크기의 레고로 만든 그림이 한쪽 벽면을 가득 채웠다. ‘대한민국 사계의 변주’라는 이름의 이 벽화에는 약 9만 개의 레고 브릭(조각)이 쓰였다.
이 작품을 만든 레고공인작가(LCP) 김승유 씨(38)는 “올해 이곳으로 본사를 옮긴 레고코리아의 한국적인 색채를 트렌디하게 전하고 싶었다”며 “한 공간에서 한국의 사계절이 파노라마처럼 스치도록 해 재미를 더했다”고 설명했다. 김 작가는 지난해 레고그룹이 인정한 레고공인작가다. 레고그룹은 레고에 관심이 많은 세계 키덜트(키즈+어덜트)를 겨냥해 이 제도를 만들었다. 작가 명함을 걸고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는 레고공인작가는 세계 13개국을 통틀어 23명뿐이다. 한국에선 김 작가를 포함해 2명이 활동하고 있다.
‘만들기’. 어린 시절 김 작가의 장래 희망란에는 늘 이 단어가 채워져 있었다. PC가 보편화하지 않은 1990년대 그가 상상의 날개를 펼치도록 도와준 도구는 레고였다. 성인이 된 후 그가 다시 레고를 접하는 계기를 마련한 건 어머니였다. 김 작가는 “어머니가 손주에게 물려주겠다는 심정으로 레고를 창고에 보관하고 있었다”며 “창고를 정리하다가 우연히 발견한 레고를 조립하며 다시 매력에 빠져들었다”고 했다.
산업디자인을 전공한 그에게 레고는 작품을 표현하기 위한 소재이기도 했다. 김 작가는 “레고는 컴퓨터로 작업한 결과를 현실화할 매력적인 소재”라며 “작은 건축물이나 조형, 오브제 등을 만들며 레고 활동을 업(業)으로 고민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레고를 전문으로 다루는 ‘브릭 아티스트’로 활동하는 길은 순탄치만은 않았다. 김 작가는 “브릭 아티스트로 활동하면서도 본업인 가구 디자이너를 병행해야만 했다”고 설명했다. 브릭 아티스트 활동을 굳힌 계기는 2019년 레고로 만든 그의 작품 ‘고흐에게(To Vangogh From Vant)’였다. 이 작품은 2차 세계대전 당시 공습으로 없어진 반고흐의 그림 ‘해바라기’를 레고로 복원한 것이다. 김 작가는 “이 작품이 주목받지 못하면 미련 없이 브릭 아티스트를 관두겠다는 마음으로 모든 것을 쏟아냈다”며 “미국 시카고의 한 박물관에서 전시를 제안할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다”고 했다.
김 작가가 창작한 레고 작품은 약 100개에 달한다. 대표 작품인 ‘시간의문 화홍문으로의 여정’은 약 40만 개의 레고 브릭을 활용해 가로 5m, 세로 2m 크기로 수원화성 화홍문을 구현했다. 김 작가의 첫 번째 버킷리스트는 레고 블록만을 이용해 실제 집을 짓는 것이다. 그는 “제가 죽더라도 많은 사람이 와서 즐길 수 있는 공간을 남길 것”이라며 “‘원트(want)의 어원을 따 만든 필명 반트(Vant)처럼 끊임없이 상상하고 바라는 것들을 고민하며 작품을 만들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원종환 기자 won0403@hankyung.com
이 작품을 만든 레고공인작가(LCP) 김승유 씨(38)는 “올해 이곳으로 본사를 옮긴 레고코리아의 한국적인 색채를 트렌디하게 전하고 싶었다”며 “한 공간에서 한국의 사계절이 파노라마처럼 스치도록 해 재미를 더했다”고 설명했다. 김 작가는 지난해 레고그룹이 인정한 레고공인작가다. 레고그룹은 레고에 관심이 많은 세계 키덜트(키즈+어덜트)를 겨냥해 이 제도를 만들었다. 작가 명함을 걸고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는 레고공인작가는 세계 13개국을 통틀어 23명뿐이다. 한국에선 김 작가를 포함해 2명이 활동하고 있다.
‘만들기’. 어린 시절 김 작가의 장래 희망란에는 늘 이 단어가 채워져 있었다. PC가 보편화하지 않은 1990년대 그가 상상의 날개를 펼치도록 도와준 도구는 레고였다. 성인이 된 후 그가 다시 레고를 접하는 계기를 마련한 건 어머니였다. 김 작가는 “어머니가 손주에게 물려주겠다는 심정으로 레고를 창고에 보관하고 있었다”며 “창고를 정리하다가 우연히 발견한 레고를 조립하며 다시 매력에 빠져들었다”고 했다.
산업디자인을 전공한 그에게 레고는 작품을 표현하기 위한 소재이기도 했다. 김 작가는 “레고는 컴퓨터로 작업한 결과를 현실화할 매력적인 소재”라며 “작은 건축물이나 조형, 오브제 등을 만들며 레고 활동을 업(業)으로 고민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레고를 전문으로 다루는 ‘브릭 아티스트’로 활동하는 길은 순탄치만은 않았다. 김 작가는 “브릭 아티스트로 활동하면서도 본업인 가구 디자이너를 병행해야만 했다”고 설명했다. 브릭 아티스트 활동을 굳힌 계기는 2019년 레고로 만든 그의 작품 ‘고흐에게(To Vangogh From Vant)’였다. 이 작품은 2차 세계대전 당시 공습으로 없어진 반고흐의 그림 ‘해바라기’를 레고로 복원한 것이다. 김 작가는 “이 작품이 주목받지 못하면 미련 없이 브릭 아티스트를 관두겠다는 마음으로 모든 것을 쏟아냈다”며 “미국 시카고의 한 박물관에서 전시를 제안할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다”고 했다.
김 작가가 창작한 레고 작품은 약 100개에 달한다. 대표 작품인 ‘시간의문 화홍문으로의 여정’은 약 40만 개의 레고 브릭을 활용해 가로 5m, 세로 2m 크기로 수원화성 화홍문을 구현했다. 김 작가의 첫 번째 버킷리스트는 레고 블록만을 이용해 실제 집을 짓는 것이다. 그는 “제가 죽더라도 많은 사람이 와서 즐길 수 있는 공간을 남길 것”이라며 “‘원트(want)의 어원을 따 만든 필명 반트(Vant)처럼 끊임없이 상상하고 바라는 것들을 고민하며 작품을 만들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원종환 기자 won04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