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훈 회장 "미생물은 미래 에너지…기후 문제 해결할 대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생물 전도사'로 나선
김영훈 대성그룹 회장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
WEC 회장 등 에너지 전문가
매립장 가스 전환해 자원 활용
미생물은 제2의 유전·가스전
ESS 결합 땐 韓 에너지강국 될 것
김영훈 대성그룹 회장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
WEC 회장 등 에너지 전문가
매립장 가스 전환해 자원 활용
미생물은 제2의 유전·가스전
ESS 결합 땐 韓 에너지강국 될 것

김영훈 대성그룹 회장(사진)은 29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미생물 공학은 기후 변화와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인류의 난치병을 치료할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대성그룹은 지난 28일 서울 조선호텔에서 바이오 분야의 현재와 미래 가능성을 조망하는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을 열었다. ‘연탄 재벌’로 불린 고(故) 김수근 대성그룹 창업주의 호(해강)를 딴 이 포럼은 올해로 4회째다.
김 창업주의 막내아들인 김 회장은 1995년 그룹 경영에 참여한 뒤 줄곧 에너지 분야에서만 한우물을 판 경영인이다. 세계 최대 민간 에너지 국제기구인 세계에너지협의회(WEC) 회장을 6년간 맡기도 했다.
김 회장이 미생물을 활용한 에너지에 본격적으로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2016년 초다. 당시 스위스 다보스포럼에 참석한 김 회장은 우연히 이오아니스 이에로폴로스 영국 브리스톨대 로봇연구소바이오에너지센터장의 기조연설을 들었다. 미생물 에너지 분야 기술과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설이었다. 이후 김 회장은 미생물 에너지 사업을 더욱 확대하기로 했다고 한다. 이듬해 6월 그룹 창립 70주년엔 제1회 대성해강미생물포럼을 개최했다.
김 회장은 “살아있는 미생물은 제2의 유전이나 가스전”이라고 자주 비유한다. 미생물은 친환경적일 뿐 아니라 풍력이나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최적의 에너지원이라는 것이다. 그는 “해가 지는 저녁이나 바람이 멈추면 전기를 만들 수 없는 태양광과 풍력발전은 인터미턴스(intermittence·간헐성)라는 한계가 있다”며 “미생물은 간헐성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미생물 에너지가 석유 천연가스 등 자원이 빈약한 한국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국내 기업들은 세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저장장치(ESS) 기술을 갖고 있다”며 “미생물 에너지와 ESS 기술을 결합하면 한국도 에너지 강국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강경민/남정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