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제로 향해 달려가는 SGC, 바이오매스 발전소 '완벽 전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버려진 나뭇가지로 연료 생산
탄소 배출량 '0'으로 계산
미세먼지 발생량도 50분의 1
"2030년까지 모든 발전소
100% 바이오매스 전환할 것"
탄소 배출량 '0'으로 계산
미세먼지 발생량도 50분의 1
"2030년까지 모든 발전소
100% 바이오매스 전환할 것"

연료 전환으로 이산화탄소 40만t 감축

SGC에너지는 잔가지 같은 미이용 산림자원을 모아 구슬 형태 원료인 펠릿을 만든다. 60㎿급 발전소를 1년 동안 돌리는 데 목재 펠릿 32만t이 필요하다. 회사 관계자는 “같은 기간 석탄은 20만t이 필요하기 때문에 연료 효율은 유연탄이 더 높다”며 “그럼에도 탄소 배출 감축이 더 중요하다는 회사의 의지가 확고해 바이오매스 연료 전환을 단행하게 됐다”고 말했다.
오는 11월에도 바이오매스 발전소가 추가된다. 100㎿급인 SGC그린파워도 상업운전을 앞두고 있다. 60㎿ 중급발전소와 마찬가지로 100% 바이오매스 원료만 쓰기 때문에 탄소를 거의 배출하지 않는다. 미세먼지 발생량도 기존 석탄 발전소의 50분의 1가량으로 적다.
3년 내 250㎿급 발전소도 연료 전환
SGC에너지는 바이오매스 발전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지난 9월 한화에너지, OCI SE 등과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바이오매스 발전에 필요한 미이용 산림자원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서다. 의미 있는 결과가 나온 것은 지난달 말이다. 산림조합중앙회와 국내산 미이용 바이오매스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5년간 산림자원을 안정적으로 공급받는 것이 계약의 핵심이다. 회사 관계자는 “SGC에너지가 보유한 발전소 중 가장 큰 규모의 250㎿급 열병합발전소는 석탄과 바이오매스를 함께 쓰는 혼소 발전 방식으로 운영된다”며 “바이오매스 펠릿 수급이 원활해지면 2025년까지 열병합발전소를 100% 바이오매스 발전소로 전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SGC에너지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활 용(CCUS) 기술 확보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공정 중 추가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신기술로 모두 포집해 ‘탄소 제로’에 도전한다는 구상이다. ESG 경영에도 매진하고 있다. 지난 14일 서울 양재초교에 화분 290개를 전달하고 나무 1800그루를 심어 ‘SGC숲’을 조성했다.
남정민 기자 peux@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