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사 기지국이 열일하네"…지진 관측하고 미세먼지 측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국 곳곳 '거미줄망' 활용
정확하고 빠르게 정보 파악
정확하고 빠르게 정보 파악

SK텔레콤은 지난 9일 기상청, 경북대와 손잡고 ‘지진관측 네트워크’를 구축한다고 발표했다. 지난 몇 년간 경북 경주, 포항 등에서 진도 5.0 이상의 지진이 잇따라 발생하는 등 지진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다.
통신사 기지국을 활용하면 기존보다 많은 지역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지진발생 여부를 파악하는 데 걸리는 시간도 단축된다.
기상청은 전국 338개 지진관측소에서 지진관측 자료를 받고 있다. 진동을 측정해 지진 조기 경보를 발령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은 7~25초 정도다. SK텔레콤은 전국 수천 개 기지국 등을 활용해 지진 관측 자료를 보강하는 데 도움을 준다. 기상청은 “SK텔레콤과의 협력으로 더 정확한 진도 정보를 생산하고 지진조기경보 시간도 단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KT는 기지국과 통신주, 공중전화부스 등 전국 2000여 곳에 미세먼지 측정기를 부착했다. 여기서 측정한 수치를 바탕으로 미세먼지 정보 앱 ‘에어맵코리아’를 운영하고 있다.
에어맵코리아는 현재 위치의 미세먼지 수치와 농도, 지역별 미세먼지 수치, 사용자 일정에 따른 미세먼지 예보, 미세먼지 수치에 따른 활동 가이드 등의 정보를 알려준다. 이런 정보는 에어맵코리아 앱을 비롯해 인공지능(AI) 플랫폼인 기가지니, 인터넷TV(IPTV) 올레tv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KT는 미세먼지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사업도 펼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등산로와 공원, 취약계층 밀집지역에 미세먼지 신호등을 설치했다. 또 대학, 병원, 호텔 등 다양한 외부기관과 실내외 공기질 관리 사업을 하고 있다. 지난 3월에는 2022년 입주 예정인 쌍용건설의 해운대 더 플래티넘 아파트에 에어맵코리아 솔루션에 기반한 단지 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을 구축했다.
KT 관계자는 “사람들이 안심하고 실내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업체와 협력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홍윤정 기자 yj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