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초·중기 미세먼지 노출될수록 기형아 가능성 높아진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08~2013년 출생 선천성 기형 아동 15만명 대상 연구
"순환기·비뇨기·근골격계 선천성 기형 위험도 증가시켜"
"순환기·비뇨기·근골격계 선천성 기형 위험도 증가시켜"

특히 임신 초기와 중기에 초미세먼지(PM2.5)와 이산화질소(NO2)노출은 선천성 기형의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임신 중 대기오염 노출에 따른 선천성 기형 발생 위험도를 임신 시기별로 구분해 초기, 중기, 후기의 노출농도에 따른 위험도를 각각 분석했다.
선천성 기형의 종류도 신경계, 근골격계, 순환기계, 비뇨기계, 소화기계, 안면 기형 등 6가지 종류로 구분해 분석했다.
임신 초기 초미세먼지 농도가 약 11.1 ug/m3 증가할 때마다 선천성 기형 발생 위험도가 14.7% 높아졌고, 임신 중기 노출은 10.1 ug/m3 증가할 때마다 16.2% 늘었다.
또 임신 초기와 중기 초미세먼지 노출은 순환기계, 비뇨기계, 근골격계의 선천성 기형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임신 초기와 중기에 이산화질소의 노출이 10.6 ppb 증가 할 때마다 기형 발생 위험은 각각 8.2%, 15.6%씩 증가했다.
홍윤철 서울의대 환경보건센터장(서울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은 "대기 오염이 심한 날에는 임신부의 야외활동을 자제할 것을 권한다"고 당부했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