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침 최저기온 -18.5도…2000년대 들어 가장 낮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980년 이후 두 번째 낮은 기록
수도권 체감온도 영하 30도까지 '뚝'…한파특보 발효중
기상청 "음의 북극진동 영향…12일까지 추위 지속"
수도권 체감온도 영하 30도까지 '뚝'…한파특보 발효중
기상청 "음의 북극진동 영향…12일까지 추위 지속"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서울의 아침 최저기온은 2000년대 들어 가장 낮았던 2001년 1월 15일과 동일한 수준을 기록했다. 기상청방재기상정보시스템상 1980년 이후 두 번째로 낮다. 서울의 아침 최저기온이 가장 낮았던 때는 1986년 1월5일(영하 19.2도)이다.
이날 낮 최고기온도 수도권은 영하 10도 밑으로 떨어지는 곳이 많을 전망이다. 9~10일 역시 평년(영상 1~2도)보다 3~9도 낮은 영하권 날씨일 것으로 예보됐다.
기상청은 올 겨울 추위의 원인을 ‘음의 북극진동’으로 분석했다. 북극진동은 북극지역 찬 공기의 극소용돌이가 수일에서 수십일 주기로 강약을 되풀이하는 현상이다. 그 중 음의 북극진동이 강하게 일어나면 북극 지역의 찬 공기가 남하해 우리나라 겨울철 한파의 원인이 된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