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크 레이저에 대한 경의(2022년)'. 백남준아트센터 제공
'바로크 레이저에 대한 경의(2022년)'. 백남준아트센터 제공
“내년(1995년)이 ‘바로크 건축의 거장’ 요한 슐라운이 태어난 지 300년 되는 해입니다. 그를 기리는 작품을 준비 중인데, 20세기 최첨단 기술로 표현해줄 수 있을까요.”

1994년 독일 뮌스터를 방문한 백남준은 베스트팔렌미술관으로부터 이런 요청을 받았다. 바로 전 해 ‘미술 올림픽’으로 불리는 베니스비엔날레에서 ‘금메달’(황금사자상)을 딴 세계적 미디어 아티스트가 이 지역을 찾는다는 소식에 미술관 사람들이 ‘첨단 기술과 바로크의 만남’이란 아이디어를 떠올린 것이다.

백남준은 곧바로 승낙했고, 작품을 설치할 장소로 슐라운이 건축한 바로크풍 건축물(로레토 교회)을 택했다. 백남준은 교회의 창문을 모두 닫아 실내를 어둡게 만든 뒤 레이저 불빛이 바로크식 중앙 돔을 가로지르도록 했다. 백남준은 사다리를 타고 올라 손가락을 레이저와 맞대기도 하고, 레이저로 담뱃불을 붙여 담배연기를 만드는 등 10분간 퍼포먼스를 펼쳤다. 백남준 레이저 연작의 출발점이 된 ‘바로크 레이저(1995년)’ 작품이다.

○28년 만에 살아난 ‘바로크 레이저’

‘프랙탈 거북선(1993년)’
‘프랙탈 거북선(1993년)’
이 작품은 그날 딱 한 번 공연하고 사라진 일회성 프로젝트였다. ‘야곱의 사다리(2000년)’ 등 극찬을 받은 백남준의 레이저 작품들의 시초란 점에서 여러 곳에서 되살리려고 했지만, 시료와 장비를 구하기 어렵다며 다들 포기했다.

이랬던 바로크 레이저가 28년 만에 관람객 앞에 다시 섰다. 무대는 경기 용인에 있는 백남준아트센터다. 이곳은 백남준 탄생 90년을 맞아 지난 19일부터 ‘바로크 백남준’ 전시회를 열고 있다. 당시 작품 제작에 참여했던 이정성 엔지니어와 미디어·레이저 아티스트, 건축가 등 네 명이 힘을 합했다. 이 엔지니어가 1995년에 찍은 바로크 레이저 영상을 보면서 마치 고고학자처럼 작품을 재현했다.

전시장 안에 작은 교회 모양의 구조물을 지나면 천장에서 쏜 레이저가 방 끝에 있는 촛불까지 3차원으로 가로지른다. 빨강, 초록, 파란빛이 서로 겹치고, 그 뒤에는 브라운관(CRT) 프로젝터를 통해 안무가 머스 커닝햄의 춤추는 영상이 홀로그램처럼 비친다.

○백남준 아트로 ‘귀한 몸’ 된 CRT

백남준아트센터는 이 작품에 쓰일 CRT 프로젝터를 구하느라 백방으로 돌아다녔다. CRT는 빛의 삼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으로 이뤄진 3개의 브라운관이다. 브라운관 안에서 세 가지 색이 합쳐지면서 화면에 색과 모양을 입힌다.

2000년대 초까지 쓰인 ‘배불뚝이’ 브라운관 TV가 이런 원리로 작동한다. 하지만 오래전에 단종된 CRT 프로젝터를 찾는 건 보통 일이 아니었다. 이수영 백남준아트센터 학예연구사는 “중고시장에서도 자취를 감춘 탓에 수소문하며 겨우 구했다”고 말했다.

CRT 프로젝터와 달리 CRT TV는 백남준의 비디오 아트에 많이 쓰인다. 그러니 ‘귀한’ CRT TV를 구하는 일은 백남준아트센터 직원들에겐 언제나 ‘풀기 힘든 숙제’다. 신제품이 없다 보니 기존 제품을 오래 쓰기 위해 공을 들인다. 수명 연장의 핵심은 잦은 정비다. 옛소련에서 만든 텔레스타 흑백 CRT 모니터와 LED 전구로 이뤄진 ‘비디오 샹들리에 No.1(1989년)’의 경우 3개월마다 휴식기를 갖는다. 그때마다 장인들이 정비한다.

○탄생 90주년 맞아 곳곳 ‘백남준 축제’

백남준은 미디어 아트의 창시자다. TV와 비디오를 주로 썼지만 카세트테이프 등 다른 매체도 활용했다. 레이저도 마찬가지다. 당시 값비싼 레이저는 주로 군사용으로 쓰였다. 그랬던 레이저를 예술의 영역으로 갖다놓은 게 바로 백남준이다.

백남준 말년의 역작도 레이저라는 신물질에 대한 도전의 결과였다. 뉴욕 구겐하임미술관에서 높이 8m짜리 폭포수 사이로 초록색 레이저 광선을 쏜 야곱의 사다리가 대표적이다. 뉴욕타임스는 야곱의 사다리 개막일에 2개 면을 털어 “레이저 작품으로 (아티스트 인생 절정기에 있는) 백남준이 새로운 시작을 했다”고 극찬하기도 했다.

다른 미술관들도 백남준의 90번째 생일을 맞아 그의 작품을 다시 꺼냈다.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은 지난 5년간 기술적 문제로 폐쇄했던 ‘다다익선(1987년)’을 오는 9월 재가동한다. 1003대의 텔레비전을 쌓아올린 백남준의 최대 규모 작품이다. 대전시립미술관은 10월 ‘프랙탈 거북선(1993년)’의 원형을 복원해 선보인다. 1993년 대전엑스포 이후 일부 축소·변경된 것을 3개월에 걸쳐 되살릴 계획이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