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도권에서 풀리는 막대한 규모의 토지보상금은 일단 은행 쪽으로 유입되고 있다는 게 금융권의 설명이다.

하지만 대부분 대기성 자금성격이 강한 1년 미만의 단기성 상품이나 고금리 특판예금으로 몰리는 등 편중 현상이 심각하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토지보상금이 정부 규제의 직격탄을 맞아 침체국면으로 접어든 부동산시장으로 재유입되면서 다시 주택시장 불안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서울 등 수도권 일대에서 토지보상이 이뤄졌거나 앞으로 진행될 택지지구는 줄잡아 50여 곳에 달한다.

실제 주택공사는 수원 호매실·의정부 민락2·안양 관양·의왕 포일·군포 당동지구 등 20여개 지역에서 국민임대주택 단지를 개발하고 있다.

SH공사도 은평 뉴타운과 강일·장지·우면·세곡·마천·천왕·신정·마곡지구 등 15개 지구에서 택지조성 사업을 벌이고 있다.

주공과 SH공사가 이들 사업지에서 올해 보상할 금액은 7조7000억원에 달한다.

또 △인천 영종지구(5조원) △광교신도시(3조3000억원) △김포 양촌지구(1조2261억원) △화성 청계·동지지구(2700억원) △고양 삼송지구(보상액 미정) △오산 궐동지구(미정) 등도 올해 대규모 토지보상이 예정돼 있다.

경기지방공사 관계자는 "토지보상금액은 개인별로 2억~5억원이 가장 많지만,수십억원의 뭉칫돈을 받는 사람도 적지 않다"고 전했다.

토지보상금은 일단 은행 대기성 자금으로 몰리는 추세라고 금융권 관계자들은 전하고 있다.

토지보상을 받은 사람들이 목돈을 단기 금융상품에 넣어 운용한 뒤 대체투자처를 찾고 있다는 설명이다.

산업은행이 최근 발표한 5월 금융시장 동향을 살펴보면 이 같은 흐름이 뚜렷하다.

금융권 수신잔액이 909조7000억원으로 전달보다 12조원 늘어난 가운데 요구불예금과 양도성예금증서(CD) 등 단기 수신상품의 유입이 특히 활발했던 것.은행들이 앞다퉈 판매하고 있는 특판예금에도 한달 사이에 3조~4조원이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은행에 대기성 자금으로 들어온 토지보상금이 추후 부동산시장으로 재유입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예상하고 있다.

안명숙 우리은행 강남센터 부동산팀장은 "땅으로 돈을 번 사람들은 주식 펀드 등 증권시장에는 발을 담그려 하지 않는다"면서 "일단 단기 금융상품으로 운용하다가 또다시 부동산시장 진입을 엿볼 것"이라고 내다봤다.

토지보상금이 유입될 만한 부동산 상품으로는 상가와 중소형 빌딩 등 임대수익형 부동산과 고급 아파트 등이 꼽히고 있다.

박상언 유엔알컨설팅 사장은 "토지보상을 받은 사람들은 상가 빌딩 등에 가장 관심을 많이 갖고 있으며 일부는 강남 분당 등의 아파트에도 눈을 돌리고 있다"고 전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