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대는 주간 MBA과정이 1년4개월,야간 MBA과정의 수업 연한이 2년6개월에 달해 다른 대학의 MBA프로그램보다 비교적 수업이 긴 편이다.

그만큼 수업내용이 충실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MBA학위를 수여하는 석사과정은 주간 MBA과정과 야간 MBA과정으로 나뉜다.

주간은 연간 70명의 학생을,야간은 120명의 학생을 모집한다.

그 외에도 직장인을 겨냥,금요일 저녁과 토요일에 수업을 진행하는 E-MBA과정이 마련돼 있다.

E-MBA 과정의 연간 입학정원은 40명이다.

서강대는 다른 대학과 달리 일반대학원의 석사,박사과정을 경영전문대학원으로 통합해 운영하고 있다.

교수들의 노력이 분산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고 전문대학원 교육을 내실화하기 위해 이 같은 운영 방식을 택했다.

경영전문대학에서 운영하는 박사과정은 연간 20명을 선발한다.

서강대는 다른 대학보다 경영전문대학원의 학사관리를 엄하게 하고 있다.

결석이 일정 기준을 초과할 경우 성적에 관계없이 낙제점을 주는 FA제도는 과거 1980년대 경영대학원 개원 이래 계속 유지되고 있다.

2003년에는 휴일로 인해 기초필수과목의 강의가 휴강돼 수업일수가 부족해질 경우 반드시 보충 강의를 해 수업일수를 채우도록 하는 제도를 도입했다.

서강대 MBA 프로그램의 교육과정은 실무교육과 이론교육을 동시에 강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수리분석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분석 방법론에 대한 강좌가 많다.

MBA 과정의 성패는 경영과 관련된 기업연구 사례들이 얼마나 최근의 것인지,사례 내용이 얼마나 충실한지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서강대는 경영 사례연구 자료를 좀 더 많이 확보하고 경영사례를 가르칠 때 필요한 교수법을 보강하기 위해 캐나다의 웨스턴 온타리오대와 제휴를 맺고 있다.

또 수업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시간강사가 아닌 전임강의를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영어강의 비중을 점차 확대,3년 이내에 50%의 강의를 영어로 진행할 방침이다.

올해부터 새로 도입된 경영전문대학원의 주간MBA과정은 학생들의 다양한 교육 수요를 수용하기 위해 4개의 복수 트랙제를 도입해 운영한다.

서강대 경영전문대학원에 입학하면 학술학위과정인 '학술 트랙(트랙 A)',학위 취득 후 취업을 목표로 하는 '취업 트랙(트랙 B)',기업체 파견인력을 교육하는 '기업전문가 트랙(트랙 C)',외국대학과의 복수학위 취득을 목표로 하는 '글로벌 트랙(트랙 D)' 등 4가지 과정 중 원하는 트랙을 골라 수업을 들을 수 있다.

학술 트랙,취업 트랙,기업전문가 트랙은 5학기제로 운영되나 여름과 겨울의 계절 학기를 활용하기 때문에 전체 교육과정을 1년4개월에 마칠 수 있다.

공동학위와 복수학위,해외 대학 연수 등 해외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도 다양하게 제공한다.

서강대 경영전문대학원은 케이스 웨스턴 리서브대,일리노이대 등 미국의 경영대학원과 금융분야에 강한 영국의 씨티대 등과의 교류를 통해 복수 학위를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내년부터 개설할 예정이다.

여름에는 미국 코넬대 등에서 연수를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돼 있다.

서강대 경영전문대학원 관계자는 "공부하는 경영전문대학원을 모토로 삼아 학생들이 가능한 한 많은 것을 배워갈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