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은행에 가면 짜증이 난다. 통장을 개설하든,송금을 하든 창구 앞에서 20,30분 기다리는 건 기본이다. 성격이 급한 기자는 10분을 못 넘겨 대기 번호표를 찢어 버리고 그냥 나와 버린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도쿄 시내이건 변두리 지점이건 사정은 똑같다.

일본의 시중 은행 창구는 왜 그렇게 밀릴까. 이유는 두 가지다. 우선 창구 업무 처리가 너무 느리다. 돈을 다른 사람에게 송금하려고 창구에 신청서를 내면 창구 직원은 송금 신청서가 제대로 작성됐는지만 확인하고 뒷자리 직원에게 넘긴다. 그 직원은 송금 신청서를 전산에 입력한 뒤 결과를 다시 윗사람에게 올린다.

상급자는 신청서부터 전산 입력까지 일일이 확인한 뒤 결재 도장을 찍는다. 결재가 떨어진 서류를 창구 직원이 찾아와 고객에게 전달해야 일이 끝난다. 창구에 접수하면 즉각 전산 처리돼 1~2분 내 송금을 끝내주는 우리나라 은행에 비하면 일본 은행의 업무 처리는 '후진적'이다.

10여년 전 한국 지방 은행을 떠올리게 하는 일본 은행의 낙후성은 금융 구조 조정이 덜 됐기 때문이다. 일본은 버블(거품) 경제 붕괴 후 시중은행 간 합병이 이뤄졌으나 직원을 거의 자르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한 사람이 해도 될 일을 두세 사람이 나눠 한다. 일본의 은행 창구가 밀리는 또하나 이유는 은행 영업 시간이 짧기 때문이다. 은행들은 오전 9시 문을 열어 오후 3시면 문을 닫는다. 한국보다 30분 일찍 영업을 시작하지만 1시간30분 먼저 셔터를 내린다. 일처리도 느린 데다 영업 시간까지 짧다 보니 은행 창구는 고객들로 미어 터진다.

일본 은행 창구에 앉아 지루하게 차례를 기다리다 보면 한국의 은행이 그리워 진다. 뼈 아픈 구조조정 결과이긴 하지만 업무 혁신과 전산화로 고객들에게 빠른 서비스를 해주는 한국이 은행 업무에선 일본보다 선진국이란 생각이 절로 든다. 그런데 최근 한국의 금융산업 노조는 창구 영업 시간을 1시간 단축하려 하고 있다. 그러면서 일본 등 선진국 은행은 오후 3시에 문을 닫는다고 선전한다. 왜 하필 '짜증나는 일본 은행'을 따라해 거꾸로 가려는지 안타깝다.

도쿄=차병석 특파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