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 캐리 트레이드(낮은 금리의 엔화를 빌려 고수익 국가 자산에 투자하는 행위)의 규모는 얼마나 될까.

서브프라임 문제로 촉발된 전 세계 신용경색 현상이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엔 캐리 트레이드 규모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엔 캐리 트레이드는 정확한 개념과 기준,통계가 없는 데다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지도 파악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그 규모를 추정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일본 정부에서는 엔 캐리 트레이드 규모를 10조~20조엔(약 850억~1700억달러)으로 추정하고 있다.

반면 도이치뱅크는 18조~24조엔(1500억~2000억달러)으로 보고 있으며 JP모건은 이보다 훨씬 많은 40조엔(약 3400억달러)으로 추정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일본 내 기관투자가들의 해외증권 투자액까지 포함해 120조엔(1조달러)으로 보기도 한다.

국내 연구기관에서도 그 규모를 다르게 파악하고 있다.

구본관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일본 국내의 개인투자자들이 해외에 투자한 금액을 제외한 2000억달러로 보는 것이 합리적인 것 같다"고 말했다.

반면 임경묵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일본의 자본수지 유출 규모가 2000년 20조엔에서 2003년 이후 30조엔으로 늘어난다"며 "매년 10조엔씩 최근 4년간 40조엔이 유출됐다고 봐야 하기 때문에 엔 캐리 트레이드 자금의 규모도 이 정도로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제 금융계에서는 엔 캐리 트레이드가 청산될 경우 전 세계적인 유동성 감소로 이어지면서 자본시장과 자산시장이 위축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일본의 저리자금이 그동안 주식시장과 부동산시장에 유입되면서 자산가격 급등을 유발했기 때문이다.

미국 국채와 같은 안전자산보다는 주식의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고,선진국보다는 신흥시장국에서 그 충격이 클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실물경제도 영향권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저금리로 인한 유동성 과잉 현상이 갑자기 위축될 경우 기업들의 자금 조달에 차질을 빚을 수가 있고,이로 인한 신용경색이 심각해질 경우 기업들의 연쇄 부도 등이 우려되고 있다.

정재형 기자 j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