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1999년부터 시행해온 콜금리 목표제가 이달부터 7일물 환매조건부채권(RP)금리를 기준으로 한 `한은 기준금리제'로 변경된다.

따라서 오는 7일 개최되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결정되는 정책금리의 운용목표가 종전 `콜금리(무담보익일물 기준)'에서 `한은 기준금리'로 바뀐다.

2일 한은과 금융계에 따르면 한은은 지난해 중반부터 단기금융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통화정책 운영체계 개편방안을 마련해 콜시장 참가기관들을 대상으로 준비작업을 진행, 이달부터 기준금리제를 시행키로 했다.

정책금리의 운용목표가 콜금리에서 기준금리로 변경되더라도 금리의 수준은 현재와 같이 연 5.00%에서 출발하며 기준금리의 결정 과정도 금통위에서 토론과 표결을 통해 결정되는 종전 방식이 그대로 유지된다.

다만 기준금리를 토대로 한은이 단기자금시장에서 통화정책을 운용하는 수단과 방법이 달라진다.

기존에는 콜금리 운용목표에 맞춰 콜시장에서 콜금리를 조정해오던 통화정책 수단이 7일에 한 번씩 RP를 매매하는 것으로 대체된다.

이렇게 되면 콜시장에서 금리가 다소 출렁이더라도 한은이 이를 방치하면서 7일에 한 번씩만 공개시장 조작을 단행하기 때문에 시장 참가자들이 자신의 책임에 따라 자율적으로 단기시장에서 돈을 꾸거나 빌려주는 식으로 적응해야 한다.

RP매매가 이뤄지지 않는 영업일에는 콜시장에서 콜금리가 크게 등락하더라도 한은이 더 이상 자금의 과부족을 해소해주지 않기 때문에 콜시장 참가자들은 자신의 책임에 따라 거래에 임해야 한다.

다만 지급준비금 적립 마감일 등에 금리가 이상 급변동할 때는 예외적으로 단기 RP매매를 통해 시장 안정을 꾀할 수 있다는 것이 한은의 입장이다.

한편 한은 기준금리제 도입과 함께 대기성 여수신제도를 도입, 콜시장에서 금리가 이상 급등락해 콜자금 조달이 어려운 상황이 초래될 경우 기준금리에 1%포인트를 더한 금리로 금융기관들이 한은으로부터 자금을 빌릴 수 있는 제도를 운용키로 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shpar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