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 나라 일본인들은 천성이 대체로 비관적이다.

정부는 물론 일반 개인들도 매사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고 플랜을 짜는 경우가 많다.

경제 전망도 마찬가지다.

일본이 1990년대 10여년의 장기 불황기를 비교적 잘 극복한 것도 평소 최악의 상황에 대비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한국인은 매우 낙관적이다.

철저한 사전 조사나 검증 없이 막연히 '잘 되겠지'라는 낙관적 가정 아래 일을 시작하는 사례가 많다.

1990년대 후반 겪었던 외환위기도 국내외 경제 현실을 안이하게 판단한 것도 한 요인이었다.

요즘 일본 내에서는 '세계 불황'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양대 경제주간지인 다이아몬드와 도요게이자이(동양경제)는 최신호(3월1일) 커버스토리로 '세계 연쇄불황'과 '세계공황'을 다뤄 눈길을 끌었다.

미국발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는 일과성 사건이 아니라 적어도 1,2년 이상 가는 구조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정부 기업 가계 등 경제 주체들이 본격적인 경기 악화에 대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도요게이자이는 1929년 세계 대공황,1974년 오일쇼크,1990년 일본 버블(거품) 경제 붕괴와 현재 서브프라임 위기 사태를 비교한 결과 공황 직전의 투자붐,기축 통화인 달러화의 신인도 하락 등 공통점이 많다고 지적했다.

다만 각국 중앙은행들이 연대해 금융완화 정책으로 선제 대응에 나서 공황으로 가진 않을 것으로 조심스레 전망했다.

일본을 대표하는 경제통인 사카키바라 에이스케 와세다대 교수(전 재무성 차관)는 다이아몬드와의 인터뷰에서 "올 상반기에 미국경기가 바닥을 찍겠지만 향후 2년 정도 1%대의 저성장에 머물 것이며 아시아 각국 경제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경제 회생'이라는 국민적 기대를 안고 출범한 한국의 새 정부는 3일 첫 국무회의를 열고 힘차게 닻을 올렸다.

하지만 해외 경제 여건은 최근 10여년 만에 가장 어려운 상황이다.

연 6~7%의 경제성장 목표를 내걸었지만 현실이 그리 녹록지 않다.

자신감은 좋지만 냉엄한 글로벌 경제 현실을 직시해야 '해답'이 나올 것 같다.

최인한 국제부 기자 jan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