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환율이 단기간에 급등함에 따라 국제수지와 소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내외 균형을 나름대로 '적정'하게 유지해온 환율이 어지러울 만큼 단기간에 급등함에 따라 시장에 과도한 쏠림 현상이 나타나지 않을까 우려되기 때문이다.

환율이 오르면 중장기적으로 무역수지가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자본이탈이 나타날 수 있다.

급격한 원화가치 하락(환율 상승)시 환차손을 우려한 외국자본이 국내 주식이나 채권을 처분하고 빠져나갈 경우 추가적인 환율 상승을 야기하고,이는 또다른 자본유출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1997년 외환위기가 발생할 당시 외국자본이 급작스럽게 빠져나간 것도 환율 추가하락에 따른 손실을 우려했던 때문이다.

권순우 삼성경제연구소 거시경제실장은 "원자재나 석유 가격이 오르는 것보다 환율이 오르는 것이 물가에 더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며 "물가가 오르면 가계의 실질구매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소비위축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권 실장은 "환율상승이 수출에 미치는 효과가 예전보다 많이 무디어진 상황에서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만 부추길 수 있다"며 "적정환율은 주관적인 것이어서 언급하기가 어렵지만 경상수지 균형을 유지하는 환율 수준에서 본다면 달러당 1000원을 넘어서는 환율은 부담스러워 보인다"고 말했다.

오문석 LG경제연구원 상무는 "과거 달러당 900원 수준까지 떨어졌던 것은 기업의 경쟁력 차원에서 문제가 생길 정도로 과도한 측면이 있었다"며 "그러나 지금은 환율이 많이 올라 상황이 달라졌다"고 말했다.

그는 "원화환율이 물가에 부담을 주는 단계에까지 와 있다"며 "경쟁국에 맞춰 적정 수준을 찾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현승윤 기자 hyuns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