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부터 서울 강남지역 초등학교에서 한자교육이 실시된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 한자 교육에 대한 찬반 논쟁도 재점화될 전망이다.

서울 강남교육청은 17일 교육청 특색사업으로 오는 10월부터 강남지역 초등학교에서 한자교육을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강남교육청은 관내 초등학교를 졸업하면 최소 900자 정도의 기초한자를 알도록 한다는 방침 아래 교재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한자 교육은 아침 자습시간이나 국어과목 시간을 활용하거나 방과 후 과제로 제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 문법 위주가 아니라 단어를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기로 했다. 성취동기 부여를 위해 한자검정시험이나 한자경시대회를 개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처럼 강남교육청이 초등학교 한자교육에 나선 것은 우리 말의 70%가 한자 조합으로 이뤄져 있어 의사소통을 위해 한자교육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그렇지만 초등학교 한자교육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다. 한글도 제대로 깨우치지 못한 초등학생에게 한자교육을 하면 언어관에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한자교육은 중ㆍ고교 단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목소리도 높다.

초등학교 한자교육은 1970년 박정희 당시 대통령이 한글전용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면서 금지됐다가 1990년대 중반 재량활동을 통해 실시할 수 있는 길이 열렸지만 현실적으로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