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ㆍ자원 등 經協 확대 … 양해각서 13건 체결 예정

러시아와 한국이 구축할 수 있는 최적의 경제 협력 윈-윈 모델은 무엇일까. 해답은 러시아의 풍부한 천연 자원과 한국의 세계적인 생산설비(플랜트) 건설 및 첨단 IT(정보기술),사회간접자본(SOC)의 결합이다.

오는 28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이명박 대통령이 세계 최대 자원부국인 러시아를 방문하는 주된 목적은 바로 이를 실현하기 위한 큰 그림을 그리는 것이다. 이 대통령이 이번 러시아 방문에서 자원외교에 '올인'하는 이유다. 이 대통령은 러시아로부터 천연가스의 안정적 도입과 서캄차카 해상광구 공동개발을 협의하는 등 자원 확보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에너지ㆍ자원,기술협력,IT 등의 분야에서 13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예정이다.

◆세계 최대 자원 부국 러시아

러시아는 군사대국을 연상하기 쉽지만 사실은 모든 천연자원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보유ㆍ생산하고 있는 자원 초강국이다. 천연가스는 매장량(47.65조㎥)과 하루평균 생산량(6120억㎥) 모두 세계 1위다. 석유는 매장량 7위(795억배럴),하루 평균 생산량은 2위(976만배럴)다. 천연가스 생산량이 전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21.6%,석유는 12.3%에 이른다. 석탄은 세계 2위인 1570억t을 보유하고 있고,우라늄,동,금,철광석 니켈 등도 세계적인 수준이다. 니켈의 경우 연 32만t을 생산해 세계 1위다.

◆높은 경제성장과 취약한 산업구조

자원이 많다보니 경제의 자원의존도가 높다. 지난해 기준으로 석유 등 에너지 자원이 러시아 전체 수출의 60.2%,철강 등 광물자원 수출이 21.8%를 차지한다. 석유 등의 상승으로 러시아는 1999∼2007년간 연평균 약 7%의 GDP(국내총생산)성장을 달성했다. 유가상승은 러시아 GDP 상승 중 30∼40%를 차지했다.

러시아의 고민도 여기에 있다. 경제가 지나치게 천연자원에 의존하고 있어 국제원자재 가격 변동에 취약하다. 그렇다보니 자원을 수송할 수송관 확보에 사활을 건다. 최근 그루지야 사태도 송유관이 지나가는 이 지역에서 자신들의 입지를 다지려는 러시아와 서방 세계의 충돌이었다. 원자재 의존형 경제구조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하고 있는 러시아는 국가 경제의 중심축인 석유 등 자원 개발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면서도 향후 유가 변동에도 지속성장을 달성하기 위해 제조업 중심의 산업다변화를 꾀하고 있다.

◆정상외교로 자원 개발 참여 기회 확보


이 대통령은 우리 기업의 기회가 여기에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자원 개발에 우리 기업이 참여하는 부분을 늘리는 대신 러시아의 산업 다변화 등에 한국이 기여할 수 있게 해 상호 윈-윈할 방법을 찾자는 것이다.

러시아는 원자력,항공우주 등 42개 전략사업과 원자재 산업에 외국인 투자를 강력하게 통제하고 있다. 전략산업은 외국 민간 투자자에게 50%만 허용하고 광물자원에 대해선 외국 투자자의 지분을 10%로 제한하고 있다. 제한을 초과한 지분을 보유하려 할 경우 총리 직속 위원회의 승인이 필요하다. 외교력이 절대 필요하다.

러시아가 유럽에 편중된 에너지 공급망 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선 것도 한국에 유리한 상황이다. 러시아는 2006년 4월 착공한 동시베리아 송유관(ESPO)을 통해 향후 아태지역 및 미국으로의 에너지 수출망을 건설한다는 구상이다. 이번 이 대통령의 방러에서는 모스크바주 한국기업 전용공단 설치 MOU 체결이 예정돼 있다. 러시아 내에서 최초로 한 국가의 기업들을 위한 전용 공단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우라늄 개발 사업 MOU도 예정돼 있는 등 한국 기업이 러시아의 에너지 자원 분야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관계자는 "해상광구 공동 개발이나 송유관 건설 등에 있어 러시아는 현재 자본조달보다는 기술력 등에 더 중점을 두고 있어 우리가 충분히 경쟁력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임원기 기자 wonk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