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예고한대로 5일 로켓을 발사함에 따라 가뜩이나 남북 관계 경색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개성공단 입주업체들은 수주 감소 등 경영 타격이 커지지 않을까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그러나 북한 정부의 필요나 남한 정부의 의지 등으로 미뤄 개성공단이 폐쇄나 철수 등의 극단적 상황을 맞지는 않을 것으로 입주업체 관계자들은 믿고 있다.

◇ '정치.군사적 불안'에 수주 기회 날려

개성공단은 작년 말 이후 최근까지 잇단 악재로 2004년 가동 이후 최대의 위기를 맞고 있다.

우선 지난해 12월 1일 북한이 일방적으로 단행한 개성공단 상주인력 50% 철수 및 출입 통제 등의 조치로 개성공단 입주 기업 10개 가운데 7개꼴로 상주인력을 줄여야했다.

지난달 9~20일 한.미 합동훈련 '키리졸브' 기간에는 북측이 군 통신선을 끊어 개성공단 출입 인력과 물자가 여러 날 발이 묶이는 등 '고립' 사태를 겪었고, 같은달 30일 북한 당국은 자신들의 정치체제를 비난하고 북한 여성의 탈북을 책동했다며 개성공단내 현대아산 직원 유 모씨를 연행한 뒤 현재까지 구금하고 있다.

여기에 이날 로켓 발사 소식까지 전해지자 개성공단 입주업체 관계자들의 얼굴은 더욱 어두워졌다.

상당 수 업체는 로켓 발사 여파로 개성공단 출입이 다시 끊길 가능성에 대비, 현재 통상 수준 이상의 원재료와 식량 등을 확보해 놓은 상태다.

유창근 개성공단입주기업협의회 부회장은 "만일의 경우 당분간 통행이 중단되더라도 공장 가동에 지장이 없도록 준비하라는 지침을 앞서 업체들에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개성공단 관계자들은 후속 돌발 상황만 없다면 로켓 발사 자체가 직접 개성공단 가동 중단이나 통행 차단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유 부회장은 "지난 2006년 미사일 발사 당시에도 개성공단은 정상 가동됐고, 현재 북한이 먼저 개성공단 조업을 중단할 명분도 없다"고 덧붙였다.

다만 로켓 발사로 개성공단의 정치적 불확실성이 다시 극명하게 부각됨에따라, 해외 바이어들을 상대하는 업체들의 경우 영업상 간접적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유 부회장은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해외 바이어들에게 제품을 공급하는 입주 업체들의 경우 최근 수주 물량이 꽤 줄어든 것으로 안다"며 "예년 같으면 지금 한창 가을.겨울 제품 주문이 몰릴 시기지만 올해의 경우 여러가지 불안 요인에 거래 중단이나 취소 사례도 적지 않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한동안 활발했던 다국적 대기업들의 개성공단 기업에 대한 공급 계약 타진 움직임도 남북 사이 긴장이 고조되기 시작한 작년말 이후 끊긴 상태라고.

◇ 中.동남아 비해 경쟁력 여전.."정부 남북관계 개선 나서야"

이처럼 외부 정치 요인에 크게 흔들리고는 있지만, 그렇다고 현재 개성공단 상황이 '당장 문을 닫을만큼' 심각한 것은 아니다.

글로벌 금융위기와 남북 관계 경색에도 불구, 아직 개성공단 입주업체들 가운데 도산에 이른 곳은 없다.

통일부에 따르면 2월말 현재 개성공단내 가동업체 수는 101개로, 작년 12월말의 93개보다 오히려 8개가 늘었다.

이는 원화값 하락에 따른 '환율 효과' 등에 힘입어 개성공단업체들이 중국.베트남 등 해외 업체들에 비해 그 어느 때보다 경쟁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섬유.봉제 업종의 경우 경기 불황에도 일감이 끊이지 않고 있다.

업체 임직원들도 앞으로 통행 차단 등 극단적 조치만 반복되지 않는다면 "충분히 해 볼만 하다"는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한 입주 업체 고위 관계자는 "개성공단입주 기업들 가운데 상당 수는 이미 중국, 베트남 등에서도 공장을 가동한 경험이 있다"며 "이들이 개성공단에서 아직 떠나지 않는 것은 그만큼 해외에 비해 여전히 개성공단의 경쟁력이 충분하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그는 "대통령이 최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개성공단을 폐쇄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고, 북한도 여전히 수 만명의 근로자를 개성공단에 출근시키고 있는만큼 개성공단 존립 자체에 대한 불안은 많이 줄었다"며 "입주 업체들은 이제 남북 양측이 대화를 통해 신뢰를 회복하고 관계 개선에 적극 나서주기만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shk999@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