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에너지 '태양과 바람의 전쟁' 불 붙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태양광 발전량 1년새 6배…삼성ㆍLG등 진출 잇따라
현대重ㆍ효성 등은 낮은 발전단가 겨냥 풍력에도 전장
현대重ㆍ효성 등은 낮은 발전단가 겨냥 풍력에도 전장
친환경 차세대 발전시장을 놓고 '태양과 바람의 전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국내 대기업은 물론 중견기업들도 화석연료를 대체할 신 · 재생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태양광과 풍력발전 사업에 잇따라 뛰어들고 있다. 태양광과 풍력발전이 제2 반도체 산업이라고 불릴 만큼 시장 전망이 밝다는 판단 아래 전력을 집중하는 기업들도 나온다.
◆삼성 · LG,태양광 시장 선점경쟁
태양광 발전 관련 산업은 폴리실리콘-잉곳 · 웨이퍼-셀(태양전지) · 모듈(패널)-시스템 사업 등으로 나뉜다. 태양전지 핵심 원료인 폴리실리콘과 폴리실리콘을 자르거나 녹여 만드는 잉곳 · 웨이퍼 분야는 전 세계 10여개 업체들이 시장을 과점하고 있다.
반면 셀 · 모듈,시스템 사업 등은 갈수록 진입 장벽이 낮아져 진출 기업들이 늘어나고 경쟁도 심화되는 추세다. 지식경제부는 국내 태양광발전 시장규모가 작년 2000억원에서 2020년에는 1조4000억원까지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태양광 발전량은 2007년 45㎿(메가와트)에서 작년에는 276㎿로 1년 새 6배 이상 증가했다.
국내 기업 중에선 LG,삼성,한화,현대중공업,코오롱 등 대기업들이 태양광 발전 시장에 뛰어들었다. LG는 화학(폴리실리콘)-실트론(잉곳 · 웨이퍼)-전자(셀 · 모듈)-솔라에너지(발전소 설립 및 운영)로 이어지는 수직계열화를 완성하는 등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조용희 신 · 재생에너지센터 산업육성실 팀장은 "세계 선진국 기술을 100점으로 볼 때 각 분야별 국내 기술수준은 90점 이상 수준에 도달해 있다"며 "중국 유럽 등 세계 각국의 태양광 육성 정책에 힘입어 수출 등 향후 산업전망이 밝은 편"이라고 말했다.
◆기술수준 뒤졌지만 주목받는 풍력 발전
태양광 발전 시장과 달리 풍력발전 분야의 국내 기술 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4~5년 뒤져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전국에서 가동되고 있는 풍력발전기 190기 중 순수 국산 부품으로 만들어진 발전기는 4기에 불과할 만큼 부품 국산화가 문제다. 750㎾급 국산 풍력발전기는 성능인증 시험이 끝나 수출이 이뤄지고 있지만 유럽 등 해외에서 주로 쓰는 2㎿와 3㎿급 발전기는 아직 인증을 받지 못해 수출길이 막혀 있다.
풍력발전 산업 구조는 태양광보다 단순하다. 구동 장치인 풍력터빈과 바람의 운동에너지를 터빈에 전달하는 타워플랜지 · 메인샤프트 등 핵심부품,단지조성 및 운영 등으로 크게 나뉜다. 핵심부품 생산 분야에선 전 세계 풍력발전기 부품의 15%를 공급하는 태웅을 비롯해 유니슨 평산 등 중견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현대중공업 두산중공업 효성 등 대기업들도 대용량 풍력터빈 개발에 나섰다.
◆풍력은 이미 원가경쟁력 확보
경제성 측면에선 풍력이 태양광보다 한발 우위에 있다. 작년 말 현재 태양광발전 평균 단가는 ㎾당 최고 646원96전으로 화력발전 단가(118원18전)에 비해 500원 이상 높다. 이에 비해 풍력발전 단가는 107원29전으로 이미 화력발전 단가 밑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풍력발전은 바람 세기와 지형 조건에 따라 설치할 수 있는 지역이 한정돼 있는 것이 단점이다. 이에 따라 도심지역으로까지 확산이 가능한 태양광발전의 보급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
◆삼성 · LG,태양광 시장 선점경쟁
태양광 발전 관련 산업은 폴리실리콘-잉곳 · 웨이퍼-셀(태양전지) · 모듈(패널)-시스템 사업 등으로 나뉜다. 태양전지 핵심 원료인 폴리실리콘과 폴리실리콘을 자르거나 녹여 만드는 잉곳 · 웨이퍼 분야는 전 세계 10여개 업체들이 시장을 과점하고 있다.
반면 셀 · 모듈,시스템 사업 등은 갈수록 진입 장벽이 낮아져 진출 기업들이 늘어나고 경쟁도 심화되는 추세다. 지식경제부는 국내 태양광발전 시장규모가 작년 2000억원에서 2020년에는 1조4000억원까지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태양광 발전량은 2007년 45㎿(메가와트)에서 작년에는 276㎿로 1년 새 6배 이상 증가했다.
국내 기업 중에선 LG,삼성,한화,현대중공업,코오롱 등 대기업들이 태양광 발전 시장에 뛰어들었다. LG는 화학(폴리실리콘)-실트론(잉곳 · 웨이퍼)-전자(셀 · 모듈)-솔라에너지(발전소 설립 및 운영)로 이어지는 수직계열화를 완성하는 등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조용희 신 · 재생에너지센터 산업육성실 팀장은 "세계 선진국 기술을 100점으로 볼 때 각 분야별 국내 기술수준은 90점 이상 수준에 도달해 있다"며 "중국 유럽 등 세계 각국의 태양광 육성 정책에 힘입어 수출 등 향후 산업전망이 밝은 편"이라고 말했다.
◆기술수준 뒤졌지만 주목받는 풍력 발전
태양광 발전 시장과 달리 풍력발전 분야의 국내 기술 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4~5년 뒤져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전국에서 가동되고 있는 풍력발전기 190기 중 순수 국산 부품으로 만들어진 발전기는 4기에 불과할 만큼 부품 국산화가 문제다. 750㎾급 국산 풍력발전기는 성능인증 시험이 끝나 수출이 이뤄지고 있지만 유럽 등 해외에서 주로 쓰는 2㎿와 3㎿급 발전기는 아직 인증을 받지 못해 수출길이 막혀 있다.
풍력발전 산업 구조는 태양광보다 단순하다. 구동 장치인 풍력터빈과 바람의 운동에너지를 터빈에 전달하는 타워플랜지 · 메인샤프트 등 핵심부품,단지조성 및 운영 등으로 크게 나뉜다. 핵심부품 생산 분야에선 전 세계 풍력발전기 부품의 15%를 공급하는 태웅을 비롯해 유니슨 평산 등 중견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현대중공업 두산중공업 효성 등 대기업들도 대용량 풍력터빈 개발에 나섰다.
◆풍력은 이미 원가경쟁력 확보
경제성 측면에선 풍력이 태양광보다 한발 우위에 있다. 작년 말 현재 태양광발전 평균 단가는 ㎾당 최고 646원96전으로 화력발전 단가(118원18전)에 비해 500원 이상 높다. 이에 비해 풍력발전 단가는 107원29전으로 이미 화력발전 단가 밑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풍력발전은 바람 세기와 지형 조건에 따라 설치할 수 있는 지역이 한정돼 있는 것이 단점이다. 이에 따라 도심지역으로까지 확산이 가능한 태양광발전의 보급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