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조연설
파하드 알 라크바니 아부다비 경제개발자문委 사무차장

비즈 환경·사법제도 개혁
교육·제약·서비스업 육성

파하드 알 라크바니 아부다비 경제개발 자문위원회 사무차장은 3일 기조연설을 통해 "20년 후 아부다비는 원유생산국에서 지식기반경제 국가로 변모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한국 기업이 아부다비에 적극적으로 투자해 주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알 라크바니 사무차장은 2007년 아부다비 경제개발 자문위원회에서 작성한 '아부다비 플랜 2030'에 대해 자세히 소개했다. 이 플랜은 20년 뒤 아부다비의 국내총생산(GDP) 규모를 현재의 5배 수준으로 늘리고 석유 의존 경제에서 탈피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현재의 중동 2위권 경제중심지에 만족하지 않고 중동 지역을 대표하는 독보적 경제허브로 우뚝 선다는 목표다.

그는 "현재 아부다비 GDP의 60%는 석유에서,40%는 비석유 부문에서 나오고 있지만 20년 뒤에는 교육 · 제약 · 서비스산업 등의 비중이 60%,석유 관련 비중이 40%로 역전되도록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아부다비가 이 같은 미래 비전을 제시한 이유에 대해 "국제통화기금(IMF)의 경제다변화 평가 결과 아부다비는 선진국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며 "석유에 치우친 경제기반을 다양화하는 것이 플랜의 가장 중요한 목표"라고 말했다.

국제경쟁력을 키울 부문으로 △원유 △에너지 △화학 △우주항공 △제약 등을 꼽았다. 석유와 천연가스 등 기존 주력산업의 발전 속도를 유지하되,화학과 귀금속 채굴 산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항공 · 우주산업과 방위산업 등 첨단 산업을 많이 유치한다는 것.또 재생에너지와 제약산업 등에도 집중 투자해 중동의 중심국가로 발돋움한다는 전략이다.

아울러 중동 지역 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할 부문으로는 △교통 △교육 △미디어 △금융 △정보통신 등을 제시했다. 알 라크바니 사무차장은 "이 같은 청사진을 만들기 위해 석유경제를 다변화한 노르웨이와 지식기반 산업을 조성한 아일랜드,수출 기반을 잘 조성한 뉴질랜드 등을 각각 벤치마킹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같은 계획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외국인 투자가 중요하다"며 "투자를 늘리기 위해 아부다비의 비즈니스 환경을 빠르게 바꾸고 있다"고 강조했다. 해외 기업 진출의 걸림돌이었던 전(前)근대적 사법제도도 글로벌 기준에 맞춰 대폭 개선하고 있다는 것.'인샬라(신의 뜻대로)'란 말의 방패 뒤에 숨어 각종 절차가 불투명하게 진행되고 결정이 한없이 미뤄지던 관행은 점점 보기 힘들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프랑스 소르본느 대학과 인시아드 등이 곧 아부다비에 캠퍼스를 설립할 계획이고 재생에너지 분야의 마스다르 시티에도 신규 투자가 많이 이뤄지고 있어 발전계획이 현실화될 날이 멀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이상은/김동욱 기자 selee@hankyung.com


기조연설
조동성 서울대 경영대 교수

韓 전문인력-UAE 자원
전략적 제휴 양국에 이익

조동성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는 '한 · 아부다비 경제협력 확대방안'이란 주제의 기조연설에서 "한국과 아랍에미리트(UAE)가 신 · 재생에너지 산업 발전을 위해 협력한다면 서로의 결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극대화하는 최강의 파트너십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마이클 포터 미국 하버드대 교수의 '다이아몬드 이론'을 활용해 한국과 UAE의 신 · 재생에너지 산업구조의 강점과 약점을 정교히 분석했다. 구체적으론 "한국은 신 · 재생에너지의 전문인력을 많이 보유한 반면 자원이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반면 "UAE,특히 아부다비는 자원이 풍부하고 정치인 · 관료들의 의지가 강하다는 강점이 있지만 관련 산업 발전 정도가 낮고 전문인력 분야가 약한 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두 나라의 산업 경쟁력을 분석한 다이아몬드를 동시에 나타내는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을 보여주며 "서로 결점을 보완할 수 있는 두 나라가 전략적 제휴를 한다면 상호 발전이 가능하다"고 제시했다. 한국은 UAE의 자원과 정치인들의 강력한 의지를 바탕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인재를 보내줄 수 있으며,UAE는 반대로 건축가 · 기술자 · 디자이너 등을 풍부히 보유하고 있는 한국 인재들을 활용해 성장을 앞당길 수 있다는 것이다.

조 교수는 에너지산업에 대한 정책방향과 관련,"효과의 지속성과 확실성에 근거해 우선 순위를 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에너지정책을 △석유 축적 △석유원(源) 다변화 △시추정 개발 △에너지 절약 △신 · 재생에너지 개발의 5가지로 나눈 뒤 "가장 효과가 확실하고 지속가능한 방안은 신 · 재생에너지 개발이므로 여기에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 교수는 "한국이 신 · 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을 꾸준히 강조해 왔고 발전량 중 신 ·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계속 높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총 발전량의 2% 선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선진국의 사례를 소개하며 "스웨덴의 경우 전체 소비에너지의 25% 이상을 신 · 재생에너지로부터 얻고 있다"며 "한국은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발전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궁극적으로는 신 · 재생에너지가 총 발전량의 50% 이상을 감당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신 · 재생에너지에 대한 수요를 늘리는 방법에 대해서는 "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으로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계층도 있지만,단순히 전기값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계층도 있다"며 "환경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는 동시에 기존 에너지원의 발전단가를 높여 재생에너지 수요를 늘리는 방안을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남윤선 기자 inkling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