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어제 1분기 경제성장률이 8.1%(잠정치)에 달해 7년 3개월 만에 8%대로 진입했다고 발표했다. 지난 4월27일 발표한 속보치보다 0.3%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작년 침체에 따른 기저(基底)효과를 감안하더라도 화려한 성적표라고 할 수 있다. 제조업 생산이 전년 동기 대비 20.7% 늘어난 것을 비롯 민간 소비가 6.3%,설비투자가 29.9% 각각 증가하는 등 생산과 소비, 투자가 3박자를 이루며 경기회복을 이끌어냈다. 지표만으로 보면 우리 경제는 안정적 성장궤도에 들어선 것이 분명하다. 이에따라 15개월째 연 2%에 묶여 있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국제금융기구도 한국의 금리인상 필요성을 잇달아 제기하고 나섰다. 부산에서 열리고 있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 중앙은행 총재 회의에 참석하고 있는 스트로스 칸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국내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경제회복을 뒷받침하는 통화정책을 계속 유지하면서 금리 정상화 과정을 시작할 여지가 있다"고 밝혔다. 앙헬 구레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사무총장도 "목표 범위내에서 물가상승률을 유지하고 인플레 기대심리를 붙들어 두려면 정책금리를 정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우리 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앞으로 현실화될 수 있는 물가상승에 대비하기 위해 본격적인 출구전략을 펴야 한다는 메시지를 보낸 것이다.

일리 있는 지적이다. 통화정책은 선제적이어야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호주와 캐나다가 금리를 올리는 등 이미 경제 여건에 맞춰 출구전략을 구사하는 나라들도 있다. 우리 역시 금리 인상을 마냥 늦출 수 만은 없다는 얘기다.

하지만 경제가 강한 탄력을 이어가기에는 여전히 불안한 요인이 많은 것 또한 사실이다. 기획재정부도 어제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 보고서(그린북)에서 "경제 회복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남유럽 재정위기의 장기화 가능성, 천안함 사태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 등 불안요인도 잠재해 있다"고 평가했다. 게다가 하반기 경제여건은 그리 좋지 않을 것이라는게 일반적 전망이다. 여당이 6 · 2 지방선거에서 참패, 세종시 수정안과 4대강 사업 등 주요 국책 과제의 지속 여부가 불투명해지면서 국정 운영에도 혼선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거시경제운용마저 획기적으로 방향을 틀 경우 시장 불안이 더 커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정부와 한국은행은 현재의 정책기조를 유지하면서 건설업을 비롯한 기업구조조정과 재정 건전화에 박차를 가하는 등 경제 체질을 개선하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 금리인상은 예상을 뛰어넘은 1분기 성장세가 2분기에 어떻게 바뀌는지 확인한 후 추진해도 늦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