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사리는 벤처캐피털 '엔터' 투자비중 확 줄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위험.고수익 업종 기피
보통주보다 우선주.CB투자, 제조업.서비스.교육 비중 늘려
보통주보다 우선주.CB투자, 제조업.서비스.교육 비중 늘려
국내 벤처캐피털의 투자 성향이 보수화하고 있다.
21일 벤처캐피탈협회에 따르면 벤처캐피털들은 보통주보다는 비교적 안정성이 높은 우선주나 CB(전환사채),BW(신주인수권부사채) 등의 투자 비중을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고위험 고수익 업종에 대한 투자를 크게 줄이고 업력이 높은 업체에 대한 투자 비중을 늘린 것으로 조사됐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잠재성이 높은 초기 벤처기업을 발굴하고 육성하는 벤처캐피털 본연의 기능이 취약해지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협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벤처캐피털의 전체 투자유형 중 우선주가 41.0%,주식연계채권(CB,BW)이 22.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프로젝트 투자는 18.4%,보통주는 11.0%에 머물렀다.
2006년만 해도 보통주 투자 비중이 40.5%로 가장 높았지만 지금은 최하위를 나타내고 있다. 벤처캐피털들이 우선주 투자를 늘리는 이유는 보통주보다 투자자금 회수가 쉽기 때문이다. 상환 우선주나 전환 우선주 형태로 투자해 기업이 청산하거나 배당을 할 때 우선 순위에 서겠다는 뜻이다.
대신 의결권이 없는 만큼 기업 경영에는 간여를 하지 않겠다는 것.경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대신 리스크를 짊어지던 과거와는 달라진 모습이다. CB,BW 투자가 늘어난 것 역시 돈을 빌려주는 형태로 투자했다가 기업의 수익성이 어느 정도 확보되면 주식으로 바꾸겠다는 취지다.
업종별로는 '고위험,고수익'업종의 대명사로 불리는 엔터테인먼트 투자 비중이 확 줄었다. 작년의 경우 전체 투자액 중 엔터테인먼트 비중이 40.5%로 가장 높았지만 올해는 24.2%로 2위에 머물렀다. 대신 최근 다시 각광받고 있는 정보통신 업종 투자비중이 작년 29.7%에서 올해 31.6%로 늘어나며 1위에 올라섰다. 또 일반제조업과 서비스,교육 등도 지난해보다 비중이 증가했다.
업력별로는 후기단계(설립 후 7년 초과)기업에 대한 투자 비중이 30.5%에서 46.4%로 크게 늘었다. 3년 이내 초기단계 기업 투자 비중은 25.1%에서 29.8%로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고,외부 투자가 가장 절실한 중기단계(3~7년)기업은 44.4%에서 23.8%로 급감했다. 미국의 경우 초기,중기,후기 기업 투자비중이 각각 30%대로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다.
한편 올해 1분기 투자실적 기준으로 한국투자파트너스가 157억원(조합투자 포함)을 투자해 1위에 올랐다. 2위는 스톤브릿지캐피탈(98억원)이었고 한화기술금융,일신창업투자,원익투자파트너스,엠벤처투자,린드먼아시아인베스트먼트,CJ창업투자,LB인베스트먼트 순이었다. 창투사 숫자는 올해 2곳이 말소되고 6곳이 새로 등록해 6월 현재 105개로 조사됐다.
고경봉 기자 kgb@hankyung.com
21일 벤처캐피탈협회에 따르면 벤처캐피털들은 보통주보다는 비교적 안정성이 높은 우선주나 CB(전환사채),BW(신주인수권부사채) 등의 투자 비중을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고위험 고수익 업종에 대한 투자를 크게 줄이고 업력이 높은 업체에 대한 투자 비중을 늘린 것으로 조사됐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잠재성이 높은 초기 벤처기업을 발굴하고 육성하는 벤처캐피털 본연의 기능이 취약해지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협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벤처캐피털의 전체 투자유형 중 우선주가 41.0%,주식연계채권(CB,BW)이 22.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프로젝트 투자는 18.4%,보통주는 11.0%에 머물렀다.
2006년만 해도 보통주 투자 비중이 40.5%로 가장 높았지만 지금은 최하위를 나타내고 있다. 벤처캐피털들이 우선주 투자를 늘리는 이유는 보통주보다 투자자금 회수가 쉽기 때문이다. 상환 우선주나 전환 우선주 형태로 투자해 기업이 청산하거나 배당을 할 때 우선 순위에 서겠다는 뜻이다.
대신 의결권이 없는 만큼 기업 경영에는 간여를 하지 않겠다는 것.경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대신 리스크를 짊어지던 과거와는 달라진 모습이다. CB,BW 투자가 늘어난 것 역시 돈을 빌려주는 형태로 투자했다가 기업의 수익성이 어느 정도 확보되면 주식으로 바꾸겠다는 취지다.
업종별로는 '고위험,고수익'업종의 대명사로 불리는 엔터테인먼트 투자 비중이 확 줄었다. 작년의 경우 전체 투자액 중 엔터테인먼트 비중이 40.5%로 가장 높았지만 올해는 24.2%로 2위에 머물렀다. 대신 최근 다시 각광받고 있는 정보통신 업종 투자비중이 작년 29.7%에서 올해 31.6%로 늘어나며 1위에 올라섰다. 또 일반제조업과 서비스,교육 등도 지난해보다 비중이 증가했다.
업력별로는 후기단계(설립 후 7년 초과)기업에 대한 투자 비중이 30.5%에서 46.4%로 크게 늘었다. 3년 이내 초기단계 기업 투자 비중은 25.1%에서 29.8%로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고,외부 투자가 가장 절실한 중기단계(3~7년)기업은 44.4%에서 23.8%로 급감했다. 미국의 경우 초기,중기,후기 기업 투자비중이 각각 30%대로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다.
한편 올해 1분기 투자실적 기준으로 한국투자파트너스가 157억원(조합투자 포함)을 투자해 1위에 올랐다. 2위는 스톤브릿지캐피탈(98억원)이었고 한화기술금융,일신창업투자,원익투자파트너스,엠벤처투자,린드먼아시아인베스트먼트,CJ창업투자,LB인베스트먼트 순이었다. 창투사 숫자는 올해 2곳이 말소되고 6곳이 새로 등록해 6월 현재 105개로 조사됐다.
고경봉 기자 kg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