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광석과 유연탄 등 철강원료 공급 기준가격이 올 2분기에 25% 이상 급등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정부로부터 가격동결 압력을 받고 있는 포스코 현대제철 등 국내 주요 철강업체들의 제품 가격인상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산업의 쌀'로 불리는 철강재 가격이 오르면,자동차 전자 조선 건설 등 연관 제조업체들의 생산 원가도 덩달아 치솟을 것으로 예상된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신일본제철 JFE스틸 등 일본 철강업체들은 호주 광산업체인 BHP빌리턴 등과 올 2분기에 공급받는 강점탄 기준가격을 1분기보다 35%가량 오른 t당 290~300달러 선에 잠정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강점탄은 쇳물을 만들 때 필요한 유연탄의 50%를 차지하는 원료다. PCI탄과 미분탄 등도 비슷한 수준으로 인상될 전망이다. 철광석 가격 역시 1분기 대비 25%가량 오를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1분기에 t당 136달러였던 철광석 가격은 2분기 170달러 수준에서 협상이 마무리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포스코가 들여오는 2분기 철광석 유연탄 가격도 같은 비율만큼 오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포스코는 전통적으로 일본 철강사들과 비슷한 가격대에서 협상을 타결해 왔다.

철강 원료값이 이처럼 급등세를 탄 것은 중국 인도 철강업체들의 신 · 증설에 따른 수요 회복과 최근 원료 수급 불균형에 따른 현물가격 상승세 때문이다.

원료값이 25~35%가량 오르면 포스코 현대제철 등 철강사들이 쇳물을 만들 때 들어가는 원가는 t당 110달러 정도 상승한다. 포스코는 현재 기준가격이 t당 90만원인 열연강판 등의 주요 철강재 가격을 t당 10만~15만원가량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미 신일본제철과 JFE스틸은 열연강판 가격을 t당 1000달러로,후판은 1050달러로 각각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김경중 유진투자증권 이사는 "국내 주요 철강업체들이 작년 4분기 원료값 상승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물가 안정화 정책에 따라 철강재 기준가격을 동결했지만,한계에 부딪친 상황에 이르렀다"며 "2분기부터 철강재 가격을 t당 10만~15만원 정도 올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포스코가 철강재 가격을 올리면 현대제철 동국제강 동부제철 등 다른 철강업체들도 잇달아 가격 인상에 동참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자동차 전자 조선 건설 등 철강재를 많이 쓰는 업계의 생산원가 상승 압력도 거세질 수밖에 없다. 자동차와 전자업계의 경우 2분기 중 생산원가가 1~5%가량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선박건조에 사용되는 후판 구매비용이 전체 생산원가의 20%를 차지하고 있는 조선업계는 상당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