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베이비부머의 자화상] 한국 국민연금 의존 38%…美는 60%가 주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메트라이프생명ㆍ서울대 조사…은퇴자금 준비
베이비부머는 비단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인 1946년부터 1965년까지 거의 대부분의 나라에서 출산 붐이 일었다. 그러나 베이비부머 은퇴가 주는 충격의 강도는 나라별로 차이가 있다. 은퇴 준비와 정부 대책 등 여건이 다르기 때문이다.
◆미국,자산 보유 충분
미국의 베이비붐 세대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약 19년(1946~1964년)간 태어난 7585만명을 지칭한다. 2008년 44~62세에 도달해 미국 총 인구의 25.4%를 차지하고 있다.
인구 비중 등을 보면 미국 역시 베이비부머 은퇴에 따른 소비 위축 등이 우려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한국과는 사정이 다르다. 가장 큰 차이는 미국의 베이비부머는 평균 80만달러 이상의 풍부한 자산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또 77.3~81.0%가 주택을 소유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베이비부머 세대의 약 60%가 위험 자산인 주식을 직 · 간접적으로 운용할 만큼 은퇴 준비도 치밀하게 해온 것으로 평가된다. 통계청 조사 결과 노후 준비 방법으로 '국민연금'(38.5%)을 가장 많이 꼽은 한국의 베이비부머와 큰 차이를 보였다.
제도 역시 미국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충격을 줄이고 있다. 미국 정부는 1986년 정년제를 폐지했기 때문에 베이비부머 은퇴 역시 갑작스럽지 않고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또 부부 중심 사회이기 때문에 노후 비용 역시 한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정부 대책 돋보여
'단카이 세대'로 불리는 일본의 베이비부머는 1947~1949년 1차 베이비붐 기간에 태어난 664만명을 가리킨다. 2009년 기준 일본 총인구의 5.21%를 차지한다. 일본의 베이비부머들은 2012년부터 65세 정년에 이르러 퇴직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충격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그 까닭은 단카이 세대의 총 개인금융 자산이 약 130조엔으로 전체의 12.7%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총인구의 5% 정도에 불과한 것을 감안하면 상당히 높은 수치다. 단카이 세대의 평균 개인자산 총액은 5000만엔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 대책도 돋보인다. 일본 정부는 2004년 '60세 정년 의무화'가 규정된 '고령자고용안정법'을 개정했다. 기업이 2013년까지 △65세 정년 연장 △정년제 임의 선택 △계속고용제도(퇴직 후 재고용이나 근무 연장) 중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게 했다. 기업들은 신규 채용에 부담이 덜 가는 세 번째 방식을 많이 택했다.
서욱진 기자 ventu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