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전 · 현직 간부를 금융회사 감사로 대거 내려보내는 관행을 지속하고 있다. 자격이 모자라는 사람을 감사로 내려보내려다 보니 일부 금융회사에서는 임시 주주총회를 소집해야 할 상황도 나타났다. 금감원이 금융회사 감독권을 무기로 금융회사 감사 자리를 직원 배출창구로 활용하려고 하기 때문에 이 같은 관행이 지속되는 것으로 금융계는 보고 있다. 금감원 출신 감사를 금감원과의 소통창구로 활용하려는 금융회사의 계산도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저축은행 부실 사례에서 보듯 금감원 출신 감사가 감사 역할을 제대로 하기보다는 일부는 금감원에 로비 활동을 하는 역할에 머물러 있다는 게 금융계의 시각이다.

◆금융회사 감사는 대부분 금감원 출신

은행 증권 보험 저축은행 등의 감사는 대부분 금감원 출신이다. 시중은행 감사는 대부분 금감원 부원장보급과 국장급 이상이다. 지방은행과 증권 보험 등은 국장이나 부국장급이다. 공적자금이 투입된 우리금융 자회사는 감사원 출신이거나 정치권과 관련이 있다.

정용화 국민은행 감사는 금감원 은행담당 부원장보 출신이다. 원우종 신한은행 감사도 국감원 비은행 감독국장을 지냈다. 조선호 하나은행 감사는 금감원 총괄조정국장을 지내고 감사로 옮겨왔다.

외국계 은행도 예외가 아니다. 한국씨티은행의 이성호 감사는 금감원 베이징 사무소장,SC제일은행의 고영준 감사는 금감원 조사2국장 출신이다.

보험업계도 마찬가지다. 김건민 알리안츠생명 감사,이병석 흥국생명 감사,소순배 신한생명 감사,이재식 삼성화재 감사,나명현 현대해상 감사,이성조 한화손보 감사 등이 금감원 출신이다.

최근 문제가 된 저축은행은 김종창 금감원장이 공개적으로 "금감원 출신 인사가 저축은행 감사로 나오는 것이 불법은 아니지만 내부통제를 제대로 했는지 의심스럽다"고 말할 정도로 문제가 심각하다.

금감원 출신의 저축은행 감사는 많다. 김상화 제일저축은행 감사,정진만 W저축은행 감사,안정석 제일2저축은행 감사,윤익상 솔로몬저축은행 감사,정석구 푸른저축은행감사 등 대형 저축은행 감사는 대부분 금감원 출신이 차지하고 있다.

◆금감원,금융사 감사 안 보낸다면서…

금감원도 낙하산 인사 논란을 의식, 제도적인 개선을 추진하기도 했다. 2009년에는 '금융회사 감사공모제'를 도입하도록 금융회사에 권고했다. 금융회사가 감사를 임명할 때 공모를 거쳐 여러 명 중에서 고르도록 했다. 하지만 대부분 금감원 출신이 임명될 뿐 나머지 지원자들은 들러리에 지나지 않았다. 대부분 금융회사들이 감사공모제를 실시하지 않고 금감원이 '낙점'한 사람을 감사로 앉히고 있다.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금감원 퇴임 2년이 되기까지는 유관기관에 취업할 수 없도록 돼 있다. 하지만 금감원 출신들은 직전에 담당했던 업권 이외의 금융회사 감사로 가거나 퇴임 직전에 담당 업권을 비전문 업권으로 바꾸는 등 편법을 써 금융회사 감사로 간다. 예를 들어 은행을 오래 담당했던 사람이 퇴임 직전 증권 담당으로 자리를 옮기거나 아예 증권사나 보험사 감사로 가는 식이다. 이른바 '경력세탁'이다.

금융위원회는 최근 저축은행 관련 업무를 담당했던 금융위,금감원 직원들의 저축은행 취업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이 역시 감사공모제나 공직자윤리법상 2년 취업제한과 마찬가지로 유명무실해지거나 실효성이 떨어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크다. 한 관계자는 "금감원이 금융회사 감사 자리를 포기하지 않는 이상 어떤 제도를 도입해도 결과는 마찬가지일 것"으로 예상했다.

◆연봉 최대 4억~5억원

이처럼 금감원 출신들이 감사 자리에 눈독을 들이는 이유는 한마디로 노나는 자리이기 때문이다. 감사는 일상적으로 수행해야 할 업무가 많지 않다. 주로 다른 부서의 업무를 감독하는 역할이다. 그러면서 연봉은 시중은행의 경우 최대 4억~5억원,지방은행이나 증권 보험사의 경우 2억~3억원에 달한다. 의전 서열상 최고경영자(CEO)에 이어 2위를 차지한다. 그러다보니 '대우는 좋고 하는 일은 별로 없는 꽃보직'이라는 비아냥이 나온다.

그렇다고 책임이 크지도 않다. 그저 CEO의 의중에 따라 적당히 행동하는 감사가 대부분이라는 지적이 많다. CEO의 잘못을 적당히 눈감아 주면서 동고동락하는 것에 만족한다는 것이다.

정재형/류시훈 기자 j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