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매체는 소비자 제보 사실을 기사로 쓰기 전 해당 기업에 미리 통보하고 '어떻게 할 것이냐'며 광고 · 협찬을 요구했다. 거부하면 바로 기사로 쓰고,협찬을 제공하면 기사화하지 않았다. " "B매체는 광고와 협찬을 요구하고,네이버 다음 등 주요 포털에 기사가 올라가니 '알아서 하라'고 협박했다. "

이처럼 일부 매체의 보도 관행이 도를 넘어서 기업 활동에 피해를 주고 있다며 광고주들이 적극적인 대응에 나섰다.

광고주들의 권익옹호 단체인 한국광고주협회(회장 정병철)는 17일 프라임경제,한국증권신문,일요시사,시사서울비즈,메디컬투데이 등 5개사를 '광고주가 뽑은 나쁜 언론'으로 선정,공개했다. 광고주협회 관계자는 "협회 사이비언론신고센터가 지난 3월16일부터 두 달 동안 200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피해 사례를 접수해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기업에 피해를 준 언론 5곳을 선별했다"고 밝혔다.

광고주협회는 이들 매체에 대해 광고 · 협찬을 중지하고 언론중재위원회에 제소하는 등 회원사들과 공동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또 네이버 다음 등 주요 포털에 검색 제한을 요청하고,사이비 언론에 대해서는 퇴출을 강제할 수 있도록 주무부서에 관리 · 감독 강화를 촉구할 방침이다. 협회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추가 명단도 공개할 계획이다.

이번에 공개한 5개 매체는 △기사내용을 미리 공지하고,기사화하지 않겠다는 조건으로 기업에 광고 · 협찬을 요구했으며 △허위 사실 및 근거 없는 음해성 기사를 게재한 후 광고 · 협찬 제공시 기사를 삭제하겠다고 거래를 제안했고 △이미 끝난 사건 기사를 일부 수정,새로운 기사처럼 부풀려 광고 · 협찬을 강요한 일이 잦았다고 협회는 설명했다.

협회 관계자는 "홍보 · 광고 담당자들은 협박성 막말에 정신적 피해까지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광고 · 협찬을 거부하면 '대표이사 관련 기사를 준비 중인데 어떻게 할 건가'라며 기업 대표 또는 가족 문제를 거론하거나 부정적 기사를 다시 쓰는 식으로 기업에 고통을 주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 관계자는 "최근 포털에 기사가 올라오면서 소비자들이 기사의 진위 여부와 관계 없이 사실로 받아들여 기업들의 피해가 심각한 상황"이라며 "파급력 있는 포털이 유사언론이 기생하는 숙주가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유사언론'의 폐해가 만연한 것은 인터넷신문 설립은 쉬운 반면 관리 · 감독은 소홀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현재 문화관광체육부에 등록한 인터넷신문은 2577개로 지난 2년 사이에 1000여개 늘어났다. 신문 등의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인터넷신문은 취재 · 편집인력 3명만 있으면 설립할 수 있으며,취재인력 2명 이상을 포함해 편집인력 3명 이상을 상시 고용해야 한다.

그러나 2009년 언론진흥재단 조사 결과 법적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곳이 309개 응답 매체 가운데 151곳에 달했다. 권상희 성균관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올 3월에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차원에서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만들었지만 자율 규제에 그치고 있다"며 "인터넷신문의 범위와 정의를 법적으로 분명히 해 진입장벽을 높이고,관리 · 감독을 엄격히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