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잡기에 비상이 걸렸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당초 연말로 갈수록 물가가 안정될 것으로 내다봤으나 '환율 급등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으로 이 같은 전망이 빗나갈 가능성이 커졌다.

21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 · 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1원50전 오른 1149원90전에 마감했다. 사흘 연속 상승세로 지난달 1일 기록한 연중 최저치(1048원90전)와 비교하면 두 달도 안 돼 9.6%(101원) 뛰었다. 유럽 재정위기와 외국인의 공격적 달러 매수로 외환시장에선 "환율이 조만간 1200원을 넘을 수 있다"는 분석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수입물가 부담은 앞으로 더 커질 수 있다는 얘기다. 한은 분석모델에 따르면 환율이 달러당 10% 오르면 소비자물가는 연간 0.8%포인트 상승한다.

소비자물가는 이미 올 들어 8월까지 작년 같은 기간보다 4.5% 올라 한은의 물가 관리 목표(4% 이내)를 뛰어넘었다. 여기에 고환율까지 겹쳐 당분간 물가 안정을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하반기 평균 환율이 1070원 정도일 것으로 보고 올해 물가 상승률을 4.3% 정도로 예상했는데 최근 환율 상승으로 올해 물가 전망을 높이는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은의 고민은 더 커지게 됐다. 물가 억제를 위해서는 금리를 올려야 하지만 국내외 경기 둔화와 금융시장 불안을 감안하면 쉽지 않은 선택이다. 임일섭 농협경제연구소 거시경제센터장은 "대외 불안이 금융시장을 좌우하는 현안으로 떠오른 상황에서 물가 부담 때문에 금리를 손대면 경제 전체에 더 큰 충격이 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