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 양국이 통화스와프 규모를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정부가 그동안 추진해온 금융안전망 구축작업이 사실상 완료되면서 이중 삼중의 외환시장 안전장치가 확보됐다.

25일 총리실과 외환당국 등에 따르면 김황식 총리는 26일 방한하는 리커창 중국 국무원 상무부총리와 세종로 정부청사에서 총리회담을 열고 통화스와프 확대 등을 담은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예정이다.

한 · 중 통화스와프 규모는 700억달러 수준으로 전해졌다. 이는 지난 19일 이명박 대통령과 노다 요시히코 일본 총리 간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한 · 일 통화스와프와 같은 규모다. 중국과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300억달러 규모의 원 · 위안화 통화스와프 계약을 맺었다. 현재 260억달러의 잔액이 남아 있다. 만기는 내년 4월이다.

한 · 일에 이어 한 · 중 통화스와프 확대로 정부의 역내 금융안전망 구축 작업이 마무리됐다. 정부는 지난 9월 글로벌 재정위기가 불거지면서 외환시장이 요동치자 시장불안을 잠재울 근본적인 해결방안으로 이를 추진해 왔다.

한 · 중 통화스와프가 700억달러로 늘어나게 되면 정부가 유사시 사용할 수 있는 가용 외화는 △외환보유액 3034억달러(9월 기준) △중국 및 일본과의 통화스와프 각 700억달러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기금(CMIM) 192억달러 등 4626억달러에 달한다. 이는 한국 국내총생산(GDP)의 절반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중국도 이번 통화스와프 확대를 통해 위안화를 국제화시키는 한편 달러를 과도하게 보유하는 데 따른 정치적 부담도 덜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중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3조달러의 외환보유액을 갖고 있어 미국으로부터 위안화 절상압력을 받고 있다. 중국이 일본과 같은 수준으로 통화스와프 규모를 확대하는 것은 아시아지역에서 금융 주도권을 일본에 내주기 싫어하기 때문이란 분석도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한 · 일에 이은 한 · 중 통화스와프를 통해 역내 금융안전망 구축작업은 끝이 났다"며 "시장 불안감을 해소하는 결정적 계기가 마련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남윤선/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