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어붙는 재건축 시장…최대 5000만원 '뚝'
"개포주공4단지가 사흘간 1000만원 떨어졌습니다. 주말인데도 찾아오는 사람이 없고,문의전화마저 뚝 끊겼습니다. " (이형관 개포동명공인 사장)

"한강변에 초고층을 짓는 사업이 백지화될 가능성이 높아 추진위원회 활동은 사실상 올스톱됐습니다. " (압구정동 현대13차 재건축추진위원회 임원)

박원순 서울시장 취임 뒤 재건축시장에 찬바람이 불고 있다. 정비구역 지정안에 대해 보류 판정을 받은 개포동 등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는 최대 5000만원까지 급락했다. 전문가들은 "재건축은 정책 변화에 따라 수익성과 속도가 결정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며 "사업이 지연되고 임대아파트 건립 부담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어 앞으로도 상당 기간 재건축시장이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얼어붙는 재건축 시장…최대 5000만원 '뚝'
◆재건축 아파트 최대 5000만원 하락

얼어붙는 재건축 시장…최대 5000만원 '뚝'
20일 찾은 개포동 일대 중개업소엔 호가를 낮춘 급매물이 나오고 있었다. 개포동명공인의 이 사장은 "4단지 전용 50㎡가 사흘 새 1000만원 내린 7억9000만원"이라며 "매수세가 전혀 없어 약보합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인근 동진공인의 윤영수 사장도 "1000만원 내린 급매물도 거래가 안 되는 상황"이라며 "개포시영 개포주공2 개포주공4 등의 정비계획안이 보류되자 인근 1 · 3단지 등 다른 단지들도 영향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잠실주공5 둔촌주공 고덕주공 등 다른 강남권 재건축도 하락 추세다. 전달까지 10억원을 웃돌던 잠실주공5단지 전용 103㎡는 지난 17일 9억6000만원에 팔렸다. 올 들어 가장 낮은 거래 금액이다. 잠실동 국민공인 관계자는 "같은 평형이 지난 1월 11억9800만원에 거래된 것을 감안하면 2억원 이상 떨어진 셈"이라고 전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박 시장 당선 이후 3주간 서울 재건축 아파트 매매값은 0.68% 내렸다. 강남구의 하락폭이 1.49%로 가장 컸고,송파구와 강동구도 각각 0.64%와 0.59%씩 떨어졌다.

◆심의 앞둔 단지 초긴장

개포시영 등의 정비계획안이 보류되자 다음달 7일 종(種)상향을 위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받을 예정인 가락시영아파트 재건축조합이 긴장하고 있다. 조합 관계자는 "도시계획위원회 소위원회에서 종샹항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이 나왔다"면서도 "개포동 정비계획안이 보류된 이후 걱정하는 주민들이 부쩍 늘어났다"고 말했다.

정비계획안 수립을 놓고 강남구청과 마찰을 빚고 있는 대치동 은마아파트 주민들도 사업성 악화를 우려하고 있다. A공인 관계자는 "현재의 용적률로는 재건축 실익이 없어 주민들이 상업지역화 등을 통해 용적률을 올려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며 "주민 요구가 받아들여질 여지가 거의 없어 매수 문의가 자취를 감췄다"고 말했다.

오세훈 전 시장 시절 50층 이상 초고층 개발이 추진됐던 압구정동 잠원동 등 한강변 단지들도 타격을 입었다. 압구정동 현대13차 재건축추진위 임원은 "최근 통합개발을 추진하겠다는 의견서를 서울시에 제출했지만 답변이 없다"며 "시장이 바뀔 때까지 재건축이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인근 대일부동산의 라학균 사장은 "대형은 1억5000만~2억원 안팎 호가가 내려갔고 30평대도 1억원 이상 호가가 떨어졌지만 매수자가 없다"고 말했다.

김보형/심은지/박한신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