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7년來 최고라지만…20代 취업자는 13만명 감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해 41만5000명 증가
지난해 일자리가 정부의 목표치인 30만명을 뛰어넘어 7년 만에 가장 많은 41만5000명 늘었다. 그러나 상당수 전문가들은 일자리의 내용을 뜯어보면 우려되는 대목이 많아 ‘외화내빈(外華內貧)’이라고 평가했다.
11일 통계청에 따르면 20대 청년 취업자는 365만2000명으로 1년 전보다 12만8000명 감소했다. 20대 인구가 줄어든 영향을 감안하더라도 청년 일자리는 1년 동안 1만7000개 늘어나는 데 그쳤다. 20대 고용률은 58.5%로 전년 대비 0.3%포인트 증가해 전체 연령층의 증가폭(0.4%포인트)을 밑돌았다.
30대는 인구효과를 고려하면 늘어난 일자리가 1만4000개에 불과하다. 고용률도 0.2%포인트 오르는 데 그쳤다.
반면 50대(0.7%포인트) 40대(0.6%포인트) 60세 이상(0.5%포인트)은 일자리가 많이 늘었다. 베이비붐 세대가 고령화되면서 고용률이 자연스럽게 오르는 측면이 있지만 자영업에 뛰어들거나 가족이 가게를 운영하는 가장의 일을 돕는 ‘가족노동’이 많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현안분석실장은 “청년층 실업률은 7%대라고 하지만 여기엔 취업 준비를 하거나 취업을 포기한 사람들이 들어가 있지 않다”며 “양적으로는 일자리가 많이 늘어난 것 같지만 뜯어보면 체감 고용과는 크게 다르다”고 말했다.
일자리의 질도 문제다. 전통적인 일자리 창출 창구인 제조업에선 지난해보다 전년 대비 1.6%포인트 늘어난 6만3000개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전년도 증가폭(5.0%)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대신 전기·운수·통신·금융(4.3%)과 사업·개인·공공서비스(2.9%) 등 서비스 분야에서 일자리가 큰 폭으로 늘었다.
자영업에 뛰어든 취업자는 크게 증가했다. 자영업은 일자리가 2006년부터 계속 줄다가 올해 처음 감소세를 멈췄다. 은퇴한 베이비부머나 취업에 실패한 구직자들이 ‘생계형 자영업’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일자리가 큰 폭으로 증가한 데는 단시간 근로자가 늘어난 영향도 컸다. 지난해 주 36시간 이상 일한 취업자는 1929만명으로 1년 전보다 2.8% 줄었고 45~53시간 근로자도 2.3% 감소했다. 반면 18~35시간 취업자는 31.4%나 늘었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고용 호조세가 꾸준히 지속되고 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서비스산업 선진화, 창업 활성화, 선진 고용시스템 구축 등 구조 개선 노력을 해달라”고 관련 부처에 당부했다.
서보미 기자 bmseo@hankyung.com
11일 통계청에 따르면 20대 청년 취업자는 365만2000명으로 1년 전보다 12만8000명 감소했다. 20대 인구가 줄어든 영향을 감안하더라도 청년 일자리는 1년 동안 1만7000개 늘어나는 데 그쳤다. 20대 고용률은 58.5%로 전년 대비 0.3%포인트 증가해 전체 연령층의 증가폭(0.4%포인트)을 밑돌았다.
30대는 인구효과를 고려하면 늘어난 일자리가 1만4000개에 불과하다. 고용률도 0.2%포인트 오르는 데 그쳤다.
반면 50대(0.7%포인트) 40대(0.6%포인트) 60세 이상(0.5%포인트)은 일자리가 많이 늘었다. 베이비붐 세대가 고령화되면서 고용률이 자연스럽게 오르는 측면이 있지만 자영업에 뛰어들거나 가족이 가게를 운영하는 가장의 일을 돕는 ‘가족노동’이 많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현안분석실장은 “청년층 실업률은 7%대라고 하지만 여기엔 취업 준비를 하거나 취업을 포기한 사람들이 들어가 있지 않다”며 “양적으로는 일자리가 많이 늘어난 것 같지만 뜯어보면 체감 고용과는 크게 다르다”고 말했다.
일자리의 질도 문제다. 전통적인 일자리 창출 창구인 제조업에선 지난해보다 전년 대비 1.6%포인트 늘어난 6만3000개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전년도 증가폭(5.0%)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대신 전기·운수·통신·금융(4.3%)과 사업·개인·공공서비스(2.9%) 등 서비스 분야에서 일자리가 큰 폭으로 늘었다.
자영업에 뛰어든 취업자는 크게 증가했다. 자영업은 일자리가 2006년부터 계속 줄다가 올해 처음 감소세를 멈췄다. 은퇴한 베이비부머나 취업에 실패한 구직자들이 ‘생계형 자영업’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일자리가 큰 폭으로 증가한 데는 단시간 근로자가 늘어난 영향도 컸다. 지난해 주 36시간 이상 일한 취업자는 1929만명으로 1년 전보다 2.8% 줄었고 45~53시간 근로자도 2.3% 감소했다. 반면 18~35시간 취업자는 31.4%나 늘었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고용 호조세가 꾸준히 지속되고 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서비스산업 선진화, 창업 활성화, 선진 고용시스템 구축 등 구조 개선 노력을 해달라”고 관련 부처에 당부했다.
서보미 기자 bmse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