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中·日 철강업체 反덤핑 제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 '마켓인사이트' 출범
현대제철·동국제강과 대책委 구성…편법·저가 수출 피해조사 착수
현대제철·동국제강과 대책委 구성…편법·저가 수출 피해조사 착수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국내 철강 ‘빅3’가 일본과 중국 철강 업체를 상대로 반(反)덤핑 제소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16일 확인됐다. 3사 공동으로 한국철강협회 내에 ‘통상대책위원회’를 설치, 국내 철강산업 피해 조사에 착수하기로 했다.
국내 철강사들은 저가·저질의 수입 철강재로 국내 철강 유통 시장의 가격 구조가 심각하게 왜곡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반덤핑 제소가 이뤄지면 한·중·일 3국 간 철강전쟁이 본격화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철강협회와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등 3사는 18일 통상대책위원회를 출범시키기로 했다. 위원회엔 3개 회사 관계자들과 변호사, 공인회계사들도 대거 참여한다. 각사 실무 임원을 중심으로 열연강판(핫코일), 후판(선박 건조용 강재) 등 제품별 분과위원회도 구성한다. 국내 철강업체들은 앞서 회사별로 통상대책 태스크포스팀(TFT)도 조직한 것으로 알려졌다.
위원회는 일본과 중국 철강업체들의 덤핑·편법 수출에 따른 국내 철강산업 피해 상황을 조사할 방침이다. 수입 철강재 규모와 가격, 국내 특정 업체들의 피해 현황 등에 대한 세밀한 분석 작업을 벌이기로 했다. 철강협회 관계자는 “수입 철강재에 대한 2~3년치 물량과 가격을 면밀히 비교해 따져볼 방침”이라고 밝혔다.
위원회 측은 산업피해 조사 후 지식경제부 산하 무역위원회와 함께 반덤핑 제소를 위한 실무 협의에 들어갈 예정이다. 정부가 국내 철강산업의 피해를 공식 확인하면, 곧바로 반덤핑 제소에 들어가게 된다.
철강협회는 이와 별도로 품질이 떨어지는 수입 건축용 철강재에 대한 법률적 보완장치도 마련하기로 했다. 건축자재용 수입산 철강재에 대해 KS 규격인증을 의무적으로 받도록 법령 개정을 추진하고 인증기관도 설립하기로 했다.
국내 철강사들이 ‘전면전’을 선포하고 나선 것은 일본과 중국 철강업체들이 열연강판, 후판 등 주요 철강재를 자국 내 가격보다 최대 20% 이상 싼 가격으로 한국에 덤핑 수출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중국은 저가공세뿐만 아니라 ‘짝퉁’ 철강제품까지 수출하고 있어 일부 건설 현장에서 피해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
국내 철강사들은 저가·저질의 수입 철강재로 국내 철강 유통 시장의 가격 구조가 심각하게 왜곡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반덤핑 제소가 이뤄지면 한·중·일 3국 간 철강전쟁이 본격화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철강협회와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등 3사는 18일 통상대책위원회를 출범시키기로 했다. 위원회엔 3개 회사 관계자들과 변호사, 공인회계사들도 대거 참여한다. 각사 실무 임원을 중심으로 열연강판(핫코일), 후판(선박 건조용 강재) 등 제품별 분과위원회도 구성한다. 국내 철강업체들은 앞서 회사별로 통상대책 태스크포스팀(TFT)도 조직한 것으로 알려졌다.
위원회는 일본과 중국 철강업체들의 덤핑·편법 수출에 따른 국내 철강산업 피해 상황을 조사할 방침이다. 수입 철강재 규모와 가격, 국내 특정 업체들의 피해 현황 등에 대한 세밀한 분석 작업을 벌이기로 했다. 철강협회 관계자는 “수입 철강재에 대한 2~3년치 물량과 가격을 면밀히 비교해 따져볼 방침”이라고 밝혔다.
위원회 측은 산업피해 조사 후 지식경제부 산하 무역위원회와 함께 반덤핑 제소를 위한 실무 협의에 들어갈 예정이다. 정부가 국내 철강산업의 피해를 공식 확인하면, 곧바로 반덤핑 제소에 들어가게 된다.
철강협회는 이와 별도로 품질이 떨어지는 수입 건축용 철강재에 대한 법률적 보완장치도 마련하기로 했다. 건축자재용 수입산 철강재에 대해 KS 규격인증을 의무적으로 받도록 법령 개정을 추진하고 인증기관도 설립하기로 했다.
국내 철강사들이 ‘전면전’을 선포하고 나선 것은 일본과 중국 철강업체들이 열연강판, 후판 등 주요 철강재를 자국 내 가격보다 최대 20% 이상 싼 가격으로 한국에 덤핑 수출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중국은 저가공세뿐만 아니라 ‘짝퉁’ 철강제품까지 수출하고 있어 일부 건설 현장에서 피해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