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과장 & 李대리] '화이트데이' 챙겨주는 훈남 김이사, 알고보니 법인카드로 온갖 생색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데이' 사무실 풍경
밸런타인·화이트도 모자라 블랙·로즈·빼빼로데이까지…
여성의 敵은 여성
"밸런타인데이 선물 그만하자" 굳은 맹세해놓고 혼자서 배신
노총각 부장 히스테리
데이트 약속 맞춰 퇴근하는데…"급한 자료야…이거 좀 해놓고 가"
밸런타인·화이트도 모자라 블랙·로즈·빼빼로데이까지…
여성의 敵은 여성
"밸런타인데이 선물 그만하자" 굳은 맹세해놓고 혼자서 배신
노총각 부장 히스테리
데이트 약속 맞춰 퇴근하는데…"급한 자료야…이거 좀 해놓고 가"
지난 2월14일 밸런타인데이 때의 어느 사무실 풍경. 영업팀 김 대리의 메신저가 아침부터 바쁘다. 밸런타인데이 때마다 수제 초콜릿을 만들어 오는 한 동기 때문에 다른 동기들과 대책회의를 하느라 메신저에 불꽃이 튄다. ‘계집애, 정말 짜증나게 하네. 어제까지만 해도 올해는 시간 없어서 초콜릿 못 만들 것 같다더니. 결국 막판에 또 배신이네.’ 매년 동기들끼리 “올해부터는 초콜릿을 선물하지 말자”며 카르텔을 맺지만, 매번 어기는 그 한 사람이 정말 얄밉다. 다른 동기들과 올해도 “당했다”며 점심시간 초콜릿을 사러가기로 했지만, 이미 ‘게임’은 반쯤 끝났다. 아침부터 수제 초콜릿을 선물 받은 남자 부서원들은 그 동기에게만 미소를 짓는다. “막내들도 한두 해쯤 초콜릿 선물하면 그만인데, 6년째 동기 하나 때문에 모두가 억지춘향격으로 초콜릿을 사고 있네요. 회사에 선물을 못하게 하는 규정이라도 생겼으면 좋겠어요.”
○“무슨 ‘데이’가 이렇게 많아”
지난해 ‘여초(女超)’ 회사에 입사한 신입사원 신씨는 ‘데이’가 오는 것이 곤혹스럽다. 기념일을 챙기는 것에 익숙하지 않아 여자친구에게 늘 구박을 받았는데, 회사에서는 핀잔주는 사람이 몇 배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발단은 지난해 화이트데이였다. 별생각 없이 회사에 갔던 것이 실수였다. ‘센스가 없다’는 말부터 ‘회사에 대한 애정이 없다’ ‘선배에 대한 존경심이 없다’는 등 하루종일 시달렸다. 신씨는 다음날 늦어서 죄송하다는 내용의 귀여운 카드와 함께 정성스럽게 포장된 사탕을 하나씩 돌렸다. 그리고 ‘이제 일년은 편하겠지’라고 한숨을 돌렸지만, 그건 착각이었다. 빼빼로데이를 아무 준비 없이 맞았다 또 한바탕 설움을 당한 것. ‘한번 가르쳐줘도 배우는 게 없다’ ‘모르면 옆을 보고 따라해라’ 등 귀에 못이 박히게 잔소리를 들었다. 그는 “빼빼로 데이는 여자친구와도 챙기지 않았다”며 “무슨 놈의 데이가 이렇게 많은지 정말 피곤하다”고 억울함을 토로했다.
‘그날’이 오면 잠시 회사를 떠나있고 싶은 직원들도 많다. 지난 밸런타인데이에 출장을 가게 된 정 대리는 속으로 쾌재를 불렀다. 신입사원이 들어오지 않아 몇 년째 부서 막내인 그는 밸런타인데이가 어떤 업무보다 신경이 쓰였다. 너무 좋은 초콜릿을 준비하면 옆 부서 여직원들의 눈치가 보이고, 그렇다고 성의없이 준비하면 부장의 특기인 웃으며 화내기를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다른 동료들도 출장가는 것을 부러워하는 눈치예요. 기내에서 초콜릿이나 하나 사 올까 해요.”
“자기 회비 냈어? 오늘 사야 내일 줄 수 있으니까 가기 전에 주고 가.” 김 대리는 밸런타인데이 회비를 내라는 이 과장이 얄밉다. 이 과장은 밸런타인데이나 빼빼로데이 때마다 부하 여직원들에게 회비를 거둬 남자 직원들에게 선물을 돌린다. 여직원이 얼마 없던 해엔 한 사람당 5만원 이상 갹출해 선물을 구입하기도 했다. 하지만 선물에 대한 생색은 이 과장이 독차지했다. 그는 “백화점 가서 제일 좋은 걸로 고른거예요”라며 하나씩 선물을 돌렸다. “저희도 돈 냈어요”라고 말하기가 민망해 그냥 넘어가던 김 대리는 올해 ‘불편한’ 진실을 알게 됐다. 그동안 이 과장은 회비를 내지 않아왔던 것. “어머 자기, 나는 시간 들여 백화점 가서 선물도 골라야 하고 또 일일이 돌리느라 고생하잖아”라며 뻔뻔스럽게 대응하는 이 과장을 보며 김 대리는 내년부턴 절대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다짐했다.
지난해 화이트데이 때 강 이사는 남자 막내직원을 방으로 불렀다. “윤 주임, 우리 부문 여직원들 주게 예쁘게 포장된 사탕 3 세트만 사올래?” ‘부문 여직원 숫자가 다섯인데 왜 세 개만 사오라는 거지’라는 궁금증이 생겼지만, 윤 주임은 지시한 숫자만큼의 선물꾸러미를 사들고 회사로 돌아왔다. 사무실로 오르는 엘리베이터에서 강 이사가 이전에 근무하던 부서의 여직원과 마주치면서 의문이 풀렸다. “어머, 이번에도 딱 그 숫자만큼 시키셨나보네. 매번 자기한테 밸런타인데이 때 초콜릿을 상납한 여직원들에게만 사탕을 돌리거든요.” 윤 주임의 궁금증이 해소되기가 무섭게 그 여자 직원은 ‘충격적’인 말을 남기고 엘리베이트에서 내렸다. “에휴, 개인적으로 받은 거면 자기도 쌈짓돈 좀 쓰지. 전표 한번 봐요. 그것 봐, 이번에도 법인카드잖아. 그거 자기네 부서 운영비에서 정산해야 돼.”
○데이트를 해도 안 해도 고민
최근 여자친구가 생긴 오 주임은 김 부장 눈치를 보느라 제대로 데이트도 못한다. 올해 50줄에 접어든 김 부장. 그는 아직도 결혼을 못한 노총각이다. 평상시에는 차분한 성격에 웃음도 많지만, 남들이 연애하는 것에는 상당한 질투를 느낀다. 일종의 자격지심이다. 그런 김 부장이 가장 싫어하는 날들 중 하나가 바로 각종 데이다. 팀원들이나 주변 연인들의 ‘닭살 행각’을 보면 은근히 화를 내고 만다. 지난달 14일에도 그랬다. 밸런타인데이를 맞아 오 주임이 6시 칼퇴근을 위해 짐을 싸고 있었다. 물론 여자친구와 데이트 약속이 잡혀 있다. 이를 모를 리 없는 김 부장은 아니나 다를까 또 심술이 발동했다. “어이 오 주임, 급히 만들 자료가 있는데 이것 좀 도와줄래?” 오 주임은 결국 여자친구와의 약속시간을 1시간이나 넘겨버렸다. “부장님~, 히스테리 싫어요~. 올해는 꼭 좋은 분께 초콜릿 받으시기 바라요~.”
강영연/윤성민 기자 yy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