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 만에 미국에서 발생한 광우병 소로 화들짝 놀랐던 정부와 국민들 분위기가 차분해지고 있다. 일본과 유럽연합(EU) 등이 한국과 마찬가지로 최종 역학검사결과가 나올 때까지 검역중단 조치를 취하지 않겠다고 밝힌 데다 미국 정부도 자국 소고기의 안전성을 거듭 강조하면서 파장을 최소화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소비자들 관심 없어”

지난 25일 가장 먼저 ‘수입 계속’ 입장을 밝힌 일본에선 한국과 달리 식품·유통업체는 물론 소비자들의 불안감도 찾아보기 어렵다. 대형 유통업체 이토요카도 관계자는 “광우병에 대해 질문하는 손님은 거의 없다”며 “육류 판매대에서 별도의 주의를 줄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한국처럼 30개월 미만 소를 수입하는 중국도 네티즌들 사이에서 광우병에 대한 관심은 높았지만 검역중단 조치를 취하지 않은 중국정부를 비난하는 목소리는 없었다.

이런 가운데 성 김 주한 미국대사(사진)는 26일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광우병에 걸린 소는 한국에 수입될 가능성이 전혀 없는 케이스”라며 “저와 제 가족은 앞으로도 미국산 소고기를 먹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에 발병한 문제의 소는 비식용 제품(주로 비누, 화학제품 등)으로 처리될 예정이었다”며 “해당 소의 월령은 30개월이 넘었기 때문에 한국에 수입될 가능성이 전혀 없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미국은 (광우병 발병에 대해) 워싱턴DC에 있는 주미한국대사관에 신속히 통보했다”며 “미국 농무부는 역학조사를 실시할 것이며 한국 정부 및 다른 기관과 협력해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규용 “안심하고 먹어도 돼”

청와대와 정부도 안정을 되찾고 이른바 ‘광우병 괴담’을 차단하는 데 적극 나서고 있다. 청와대는 우선 일부 언론이 미국의 젖소 광우병 사례 발생 이후 정부가 수입중단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이 2008년 대국민 약속을 어긴 것이라고 지적한 데 대해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한 핵심관계자는 “2008년 광우병 파동 당시에 국무총리 담화를 통해 ‘광우병이 미국에서 발생해 국민 건강이 위험에 처한다고 판단되면 수입 중단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약속한 적이 있다”며 “하지만 이번 발병으로 국민 건강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고 볼 징후는 아직 없다”고 말했다. 이어 “당시 정부의 신문광고에 광우병이 발견되면 무조건 수입을 중단할 것처럼 표현된 것은 광고문구의 특성상 그랬던 것”이라고 해명했다.

서규용 농림수산식품부 장관도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내로 들어오는 미국산 소고기의 안전성에 전혀 문제가 없다”며 “소비자들은 안심하고 사먹어도 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서 장관은 검역·수입 중단 조치의 전제 조건인 미국 현지조사를 벌이지 않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서 장관은 “국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미국산 소고기의 포장지 개봉검사 비율을 현재 3%에서 30%까지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차병석/조수영/서보미 기자/도쿄=안재석 특파원 deli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