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버스 노동조합이 오는 18일 총파업을 예고하면서 15년 만의 교통대란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9.5% 임금 인상을 요구하는 노조와 동결을 주장하는 서울버스운송사업조합 및 서울시의 입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일각에선 다른 운송업 종사자에 비해 높은 연봉을 받는 시내버스 노조에 대한 비판도 나온다.

○임금 수준 놓고 엇갈린 주장

서울 시내버스 "임금 올려달라"…18일 총파업 예고
노조 측은 ‘임금 9.5% 인상’과 ‘200대 감차계획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이태주 버스노조 정책국장은 “최근 8년간 서울 버스기사의 임금은 1~2% 정도밖에 인상되지 않았다”며 “올초 버스요금이 인상됐기 때문에 임금 인상은 당연하다”고 주장했다.

반면 시와 사업조합 측은 “2004년 준공영제가 시행되면서 서울 시내버스 운수종사자의 임금은 이전보다 약 50% 올랐다”며 “임금 수준은 다른 광역자치단체와 비교해 월등하게 높다”고 지적했다. 시에 따르면 4~7년간 근무한 서울 시내버스 기사들의 연봉은 4021만원이다. 마을버스(2160만원)와 택시기사(2000여만원, 회사 소속) 연급여의 두 배에 달한다.

이에 대해 노조 관계자는 “4000만원은 야근 및 주말수당을 모두 합친 것으로 기본급은 실제 얼마 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서울 시내버스 기사들의 급여는 경기도(3100여만원)와 인천(3500여만원)에 비해 높다.

권오혁 서울시 버스관리과장은 “2004년 버스 준공영제 도입 이후 매년 약 4%씩 임금이 인상됐다”며 “물가상승률을 훨씬 웃도는 9.5% 임금 인상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했다. 버스 감차계획도 시 예산 절감을 위해선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서울 시내버스 "임금 올려달라"…18일 총파업 예고
○막판 타결 가능성 높아

노조와 사측은 총파업에 앞서 16일 오후 2시부터 서울지방노동위원회 중재 하에 2차 조정협상을 벌인다. 제3자인 서울시는 중재자 자격으로 협상에 참가한다. 2004년 버스 준공영제 도입 이후 서울시가 시예산을 동원해 시내버스 운영비용 전액을 사실상 책임지고 있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버스노조는 요금 인상이 이뤄졌던 해엔 항상 높은 수준의 임금 인상을 먼저 요구했다”며 “이번에도 노사 양측이 절충안을 찾을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