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중소기업이 겪고 있는 위기 상황은 1997년 외환위기나 2008년 금융위기와는 판이하게 다르다. 세계적인 금융위기와 그에 따른 전 세계의 실물경제 침체, 신용경색이 주원인인 최근의 상황은 단기간 안에 헤어나기도 쉽지 않고 복잡하게 얽혀 있어 풀기도 어렵다.

위기가 오면 대부분 중소기업이 직면하는 문제는 심각한 자금난이다. 이들을 신속하고 과감하게 지원해 위기 상황을 차단해야 한다.

첫째 이자지급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은 중소기업에는 금융회사들이 만기 도래하는 기존 대출이나 보증에 대해서는 전액 2년 정도 만기를 연장하는 데 동참해 실패기업의 발생을 최소화해야 한다.

둘째 금융회사들이 생산활동이 정상적인 제조 중소기업 보유 자산을 5~7년간 환매조건부로 매입하는 ‘세일앤드리스백’을 할 수 있도록 물꼬를 터줘야 한다. 중소기업은 한시적으로 부채를 줄일 수 있고 이자비용과 감가상각비 부담도 덜 수 있다. 2008년 위기 때 건설회사의 보유토지나 미분양 주택에 적용했던 사례다.

셋째 금융회사들이 거래기업 이익의 일정 부분과 연동된 ‘이익공유형 대출’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자율을 ‘저금리의 고정이자율에 대출기업의 법인세 차감전이익의 일정비율을 가산’해서 결정하는 것이다.

넷째 대기업들이 거래 중소기업에 대한 자금지원이나 신용지원에 앞장서도록 정부가 세제 등 인센티브를 부여해 줘야한다. 대출뿐만 아니라 보증이나 투자를 통해 중소기업의 자금난 해결에 동참하도록 하는 것이다. 대기업은 납품하는 중소기업의 경영 내용을 금융회사보다 더 속속들이 잘 알고 있다. 거래 중소기업이 문제되면 대기업 경영에도 부담이 될 수 있다.

지금 필요한 건 ‘리스크 발견자’가 아닌 ‘리스크 해결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