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동 금융위원장(사진)은 11일 “유럽 재정위기 여파가 실물로 빠르게 확산돼 중소기업의 상황이 급박하게 어려워지면 은행권 공동의 노력을 통해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과 태국 금융당국 간 협력 강화를 위해 방콕을 방문 중인 김 위원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하반기는 금융정책의 역량을 중소기업 지원에 집중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본지 6월 7일자 A3면 참조

이와 관련, 금융당국 내에서는 중기 지원대책의 마지막 단계로 은행들이 중기대출 만기를 일괄적으로 1년간 연장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와 시중 및 국책은행들은 리먼브러더스 파산 쇼크가 국내 실물경제로 전이됐던 2009년 2월 중기대출 160조원에 대한 만기를 1년간 일괄 연장해 자금난에 숨통을 터 준 적이 있다.

김 위원장은 유럽발 위기의 국내 실물경제 전이 정도에 따라 △신용보증기관 동원 △정책금융기관 자금 공급 확대 △은행권 공동의 노력 등 중기 지원을 위한 단계별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고 전했다.

그는 “중소기업이 외부의 충격으로 위기 상황에 몰리면 먼저 신용보증기금을 통해 보증기간 연장, 신규보증 확대, 프라이머리CBO(P-CBO·채권담보부증권) 발행 물량 확대로 대응하겠다”며 “다음 단계로는 정책금융공사 기업은행 산업은행 등 국책금융기관들이 중기 자금지원 규모를 탄력적으로 늘리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P-CBO란 신용도가 낮은 중소기업 등의 회사채를 기초자산으로 삼아 신용보증기금의 보증으로 신용을 보강해 다시 발행하는 회사채를 말한다. ‘중소 건설·조선 등 한계 선상에 있는 기업까지 지원하는 것은 문제가 있지 않나’라는 질문에 대해 김 위원장은 “경쟁력 없는 기업까지 무조건 살려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그는 “은행들도 앞으로 닥칠지 모르는 위기에 대비해 시장과 산업 등 전체 시스템을 지키겠다는 인식을 공유해야 한다”며 “평화 시엔 (은행 경영에) 간섭하지 않겠지만, 공동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 오면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도록 단호하게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 위원장은 이날 방콕의 인터콘티넨털호텔에서 쁘라베흐 옹가르트시띠굴 태국 보험위원회 사무총장과 감독당국 간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방콕=류시훈 기자 bad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