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유럽연합(EU)으로의 자동차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40.7% 급감했다. 이에 따라 대표적 수출효자 품목인 자동차 전체 수출도 2009년 11월 이후 31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관세청이 15일 발표한 ‘6월 무역동향’에 따르면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한 472억달러, 수입은 5.5% 감소한 423억달러를 기록했다. 수출은 4개월 만에 감소세에서 벗어났지만 수입은 4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자동차-전자제품 수출 급감

6월 무역수지는 49억1000만달러 흑자로 5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월 기준으로 20개월 만에 최대 규모지만 수입이 큰 폭으로 감소한 데 따른 ‘불황형 흑자’ 양상을 띠고 있다. 특히 올 들어 처음으로 원자재, 자본재, 소비재 수입이 동시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기준으로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0.6% 늘어난 2752억달러, 수입은 2.4% 증가한 2646억달러로 106억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30.0% 줄어들었다.

자유무역협정(FTA) 효과 등으로 미국에 대한 수출이 10.2% 늘어난 반면 유럽지역에 대한 수출은 16.1%나 감소했고 중국 수출도 1.5% 줄었다.

하반기 수출 전망도 상반기에 비해 밝지 않다. 자동차 등 주력품목들의 수출증가세가 눈에 띄게 둔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자동차 수출 실적은 전년 동월 대비 0.8% 감소한 40억900만달러를 기록했다. 재정·금융위기의 진앙지인 유럽지역의 수출부진이 큰 영향을 미쳤다. 지난 3월까지 급증세를 보였던 EU 자동차 수출은 4월부터 마이너스로 전환, 계속 부진한 흐름을 보여왔다. 미국 수출도 2개월 연속 감소했다. 이에 따라 전체 자동차 수출증가율도 3월 26.6%에서 4월 12.9%, 5월 3.2% 등으로 계속 둔화돼왔다. 또 가전제품은 9개월째 수출이 줄어들고 있고 무선통신기기도 12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자동차 착시효과 경계해야

지역별로는 4개월째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중국과 EU시장도 심상찮은 분위기다. 특히 EU 지역 최대 교역국인 독일에 대한 수출이 13.2% 줄어든 것을 비롯해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벨기에 그리스 등 유럽 20개국의 수출이 모조리 감소했다. 일본 수출이 최근 두 달 연속 증가했지만 다른 주요 시장의 감소세를 떠받치기엔 역부족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무역수지가 특정 품목(자동차), 특정 국가(중국)에 의해 착시효과를 불러일으키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이날 ‘상반기 무역수지 흑자의 착시현상’이라는 보고서에서 5월까지 호조를 보였던 자동차를 제외할 경우 상반기 무역수지는 212억달러 적자라고 분석했다. 국가별로는 중국 의존도가 높아 중국(홍콩 포함)을 제외한 무역수지는 378억달러 적자였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이에 따라 향후 두 분야에서 수출이 부진할 경우 무역수지가 급격히 악화될 것으로 우려했다. 최성근 선임연구원은 “자동차를 제외한 조선 정보기술(IT) 등의 무역수지 악화는 심각한 상황”이라며 “착시효과를 감안한 정확한 수출 경기 판단과 무역수지 개선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임원기/서정환 기자 wonk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