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벨이 요란하게 울리고 있다. 이번에는 중국이다. 8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2로 9개월 만에 경기위축 신호로 전환됐다. 6분기째 성장률이 곤두박질치고, 올초 20%대를 웃돌던 수출증가율은 이미 지난달 1%로 축소됐다. 지난 주말 상하이종합지수는 2050선이 붕괴되며 44개월 만의 최저치로 떨어졌다. 물론 전 세계가 유럽재정위기의 충격에 빠져 있는 상황에서 중국만 좋을 수는 없다. 그러나 외국자본의 이탈 조짐까지 나타나는 것은 분명 심상치 않은 시그널이다.

중국경제의 빨간 불은 도처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건설은행 등 5대 은행의 연체규모는 지난 6월 말 기준 4160억위안으로 작년 말보다 27%나 늘어났다. 월스트리트저널은 경기악화 때문에 지난 7월 약 30억달러의 외국자본이 순유출됐다고 보도했다. 실제 미국의 부동산 그룹인 티시먼 스파이어는 상하이에 갖고 있던 8500억원 규모의 토지를 매각한 뒤 철수하기로 했다. 지난 7월 제조업체의 수익률은 전년 동기 대비 5.4% 줄어들어 감소폭이 전 월보다 세 배 이상 확대됐다.

게다가 최근 내놓은 경기부양책의 약발이 전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중국 정부는 가전제품이나 자동차를 구매하면 보조금을 주고, 금리도 내렸지만 경기침체를 막지 못했다. 각 지방정부가 약 7조위안의 경기부양 자금을 풀겠다고 한 것은 거꾸로 중국경제에 대한 불신만 높였다. 재원마련 능력이 없는 지방정부가 2008년 금융위기 때 중앙정부가 풀었던 4조위안보다 훨씬 많은 돈을 공급하겠다는 것 자체가 난센스다. BOA메릴린치가 중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8.0%에서 7.7%로 낮추는 등 전문기관들이 중국경제 전망을 비관적으로 보는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다.

경제는 고꾸라지는데 10월 중국지도부를 교체하는 공산당은 권력투쟁에 몰두하는 모습이다. 한 달 앞으로 당대회가 다가왔지만 아직도 최고 지도부를 몇 명으로 구성하며 누구를 임명할 것인지를 놓고 계파 간에 갑론을박한다는 소리가 들린다. 중국은 우리의 최대 교역국이다. 차이나 리스크가 수면 위로 부상하고 있다. 비상 대응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