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둘러싼 중·일 간의 영유권 갈등이 무력충돌 직전 국면으로까지 치닫고 있다. 어제 중국의 해양감시선 6척이 센카쿠열도의 12해리 영해안으로 들어가 일본의 철수를 요구했다. 중국 해양감시선과 일본 순시선이 3시간 동안 대치하는 긴박한 장면까지 연출했다. 일본 정부가 지난 11일 센카쿠열도를 국유화하고, 중국이 전면적 교류중단과 경제적 보복을 선언하는 등 초강경으로 대립하고 있는 두 나라다. 군사적 충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긴박한 국면이다.

이미 중국 내 반일감정은 펄펄 끓고 있다. 중국 대도시의 길거리에선 일본인이 잇따라 폭행을 당하고, 일본상품 불매운동은 시작됐다. 국영기업인 중국철도공사는 일본상품 구매중단 지침을 발표했다. 중국 환구시보가 ‘2차대전 후 최고의 반일감정이 나타나고 있다’고 보도했을 정도다. 일본은 중국의 주장에 일절 반응하지 않는 침묵으로 대응 중이지만 언제 또 강경한 카드를 꺼낼지 모른다. 일본 국민들의 드러나지 않는 반중감정도 상당한 수준에 올라 있다. 동북아의 안정을 위협하는 일촉즉발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 것이다.

양국 대립의 외형은 영유권 문제이지만 본질은 국내 정치적 위기를 모면하기 위한 포퓰리즘의 성격을 띠고 있다. 다음달 최고 지도부 교체를 앞둔 중국에선 시진핑의 유고설 등으로 어수선한 상태다. 티베트에선 독립을 요구하는 분신행렬이 50명을 넘어섰다는 소식이다. 지지율이 역대정권의 최저 수준인 노다 정권의 민주당은 물론 11월에 열릴 선거에서 보여줄 마땅한 비전이 없는 다른 정파들도 영유권 이슈에 매달리고 있다.

국제적 분쟁해결에 배타적 민족주의를 끌어들이는 것은 자해행위에 불과하다. 정치 경제적 혼란은 두나라뿐 아니라 동북아는 물론 세계 각국의 발목을 잡는 것에 불과하다. 중국과 일본은 후진적인 비이성적 정치행태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