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관절은 평생 어느 정도의 관절운동을 할까. 아마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을 것이다. 평생 수도 없이 사용하는 무릎관절도 노화현상을 비껴갈 수는 없다. 관절도 나이가 들면서 퇴행성 변화를 맞는다. 고령층에서 관절염의 위험이 높아지는 이유다.

쉴 새 없이 관절운동을 하면서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은 조금씩 닳는다. 젊을 때와 달리 나이가 들면서 연골이 닳게 되는 속도가 급속하게 진행된다. 가벼운 부상에도 쉽게 손상을 입게 될 정도로 약해지는 것은 물론 심할 경우 연골이 관절 사이에서 사라지기도 한다.

퇴행성관절염의 초기증상은 사람이 관대하게 느낄 수 있을 정도의 통증을 제외하고는 없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진을 받지 않는 이상 찾기가 힘들다.

퇴행성관절염의 통증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것은 관절염이 진행된 뒤 중기 이후부터다. 간단한 자세를 바꿀 때도 통증이 오기 시작한다. 증상이 조금씩 더 진행되면 이유 없이 무릎이 붓는다. 관절염 중기에도 치료를 받으면 보존적인 요법과 함께 관절내시경을 통한 수술로 어느정도 완치가 가능하다.

하지만 말기에 이르러서는 자기관절을 보호할 수 있는 치료법들은 소용이 없다. 이미 연골이 없어진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 때는 새로운 인공관절을 대치시켜주는 수술을 검토해야 한다.

김정민 희명병원 정형외과 진료부장은 “퇴행성관절염 치료의 핵심은 시기라고 할 수 있다”면서 “말기 퇴행성관절염의 경우 인공관절을 대치하는 수술을 제외하고 치료법이 아직 확실하게 나온 것이 없기 때문에 자기관절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무릎에 통증이 조금이라도 오면 방치하지 말고 병원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퇴행성관절염은 대부분 고령의 환자들이 많이 앓는다. 고령층이 치료를 받기 때문에 그만큼 재활치료도 중요하다. 무중력 보행 장비(G-trainer)는 무릎수술 후 관절의 기능을 빠르게 회복시키면서 퇴원을 조기에 시켜줄 수 있는 재활치료기로 최근들어 무릎관절 환자들에게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