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출퇴근시간 평균 55분, OECD 2위라는 불명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제협력개발기구(OCED) 통계에 따르면 한국 직장인들의 출퇴근 소요시간은 평균 55분에 달한다. OECD 국가 중 남아공(56분)에 이어 두 번째로 길다고 한다. OECD 평균(38분)보다는 17분이나 더 걸린다. 심지어 교통지옥이라는 일본(48분)보다도 길다. 길에서 허비하는 시간이 많다는 게 놀라울 따름이다.
출퇴근이 오래 걸리는 것은 신도시 건설, 행정구역 확장에 따른 도시 광역화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서울 부산 대구 등의 인구는 1995년이래 4~10% 감소한 반면 인접지역 인구는 17~41%나 급증했다. 그 결과 출퇴근에 한 시간 이상 걸리는 사람이 1995년 134만명에서 2010년 236만명으로 100만명 이상 늘었다는 게 철도기술연구원의 추산이다. 반면 교통인프라 면에서 광역·도시철도 연장(延長)은 도쿄의 3분의 1에 불과하고, 전철역 간 거리(평균 1.5㎞)가 짧으면서 우회하는 정도가 심하다. 높은 혼잡도와 환승 불편도 출퇴근을 더디게 만드는 요인이다.
출퇴근시간 단축은 삶의 질, 업무능률 등과 직결되는 문제다. 정부는 그동안 대중교통 이용을 권장하기만 했을 뿐 이용자 관점에서 편의성, 정시성을 높이려는 노력은 등한히 해왔다. 그런 의미에서 서울지하철 9호선이 급행열차 운행으로 이용객이 하루 30만명을 넘어선 것은 눈여겨볼 만하다. 정치가 개입하면서 직선으로 뻗어야 할 노선이 뱀처럼 구불구불해지고 정차역도 무한정 늘어나는 행태도 사라져야 마땅하다. 출퇴근시간 줄이기야말로 삶의 고통을 줄여주지 않을까.
출퇴근이 오래 걸리는 것은 신도시 건설, 행정구역 확장에 따른 도시 광역화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서울 부산 대구 등의 인구는 1995년이래 4~10% 감소한 반면 인접지역 인구는 17~41%나 급증했다. 그 결과 출퇴근에 한 시간 이상 걸리는 사람이 1995년 134만명에서 2010년 236만명으로 100만명 이상 늘었다는 게 철도기술연구원의 추산이다. 반면 교통인프라 면에서 광역·도시철도 연장(延長)은 도쿄의 3분의 1에 불과하고, 전철역 간 거리(평균 1.5㎞)가 짧으면서 우회하는 정도가 심하다. 높은 혼잡도와 환승 불편도 출퇴근을 더디게 만드는 요인이다.
출퇴근시간 단축은 삶의 질, 업무능률 등과 직결되는 문제다. 정부는 그동안 대중교통 이용을 권장하기만 했을 뿐 이용자 관점에서 편의성, 정시성을 높이려는 노력은 등한히 해왔다. 그런 의미에서 서울지하철 9호선이 급행열차 운행으로 이용객이 하루 30만명을 넘어선 것은 눈여겨볼 만하다. 정치가 개입하면서 직선으로 뻗어야 할 노선이 뱀처럼 구불구불해지고 정차역도 무한정 늘어나는 행태도 사라져야 마땅하다. 출퇴근시간 줄이기야말로 삶의 고통을 줄여주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