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B급 인력 포용하는 정책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학 실무교육 강화…中企취업 유도
'청년취업아카데미' 사업 주목할만
이우영 < 기술교육대 능력개발교육원장 >
'청년취업아카데미' 사업 주목할만
이우영 < 기술교육대 능력개발교육원장 >
한국의 청년층 공식 실업률은 2011년 7.6%로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보다 낮은 편이지만 높은 대학진학률과 체감실업률을 감안하면 사회적 여파가 OECD 국가들 못지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당면한 청년실업 해소를 위해 정부는 여러 부처에서 1조원이 넘는 여러 가지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대체로 세 유형의 청년실업대책을 추진하고 있는데, 첫째는 청년일자리 자체를 늘리는 대책으로 창업활성화, 공공부문 일자리 늘리기, 해외취업 활성화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둘째는 학교에서 직장으로의 연결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대책으로 취업정보제공, 기업맞춤식 직업교육, 청년인턴제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청년실업자 중에서도 취업역량이 약한 계층이나 지역을 대상으로 특화된 지원 사업을 벌인다. 이쯤 되면 그간 정부가 시행한 사업은 소위 해볼 건 다해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듯싶다. 이제는 이 땅의 대부분인 평범한 B급 인력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 정책방향을 설정해야 될 때다.
우선 청년층의 실업률을 완화하되 특히 고용유지율 관점에서 직장에서의 조직 및 직무적응성 강화를 통한 정착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둘째 우리나라 전체 고용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중소·중견기업으로의 취업 활성화를 위한 획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대학교육과 산업수요 간 미스매치 해소와 대졸자의 조직 및 직무 적응력 향상을 위한 주요 수단으로는 대학교육과정에 수요자가 직접 참여하는 기업실무 중심의 교육을 제공하고 기업체 현장실습을 포함해 직무체험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업과 재학생 간 양방향 교류가 적극적으로 이뤄지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는데, 고용노동부가 올해로 두 번째 시행하는 ‘청년취업아카데미’ 사업이 좋은 예다. 운영기관 중 하나인 경기중소기업연합회는 88개 업체가 사업 참여 협약을 맺고 인근의 전문대 재학생을 대상으로 4개월간 270여시간의 교육과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를 통해 직무능력의 현장성을 제고하고 취업역량을 강화하는 것이다.
아무리 잘 설계된 사업이라도 정부의 지원관리 구조 및 평가와 피드백이 부실하면 정권이 바뀔 때마다 없어지는 것이 정부 사업이다. 청년취업아카데미는 전국에 분포한 40여개의 한국산업인력공단 지부의 전담인력이 현장 모니터링을 하고 프로그램 수료자들은 3개월간의 고용유지 상태에서 70% 이상 취업률을 달성해야 운영성과를 인정받도록 지표를 설정해 놓았다. 따라서 다른 사업보다 실효성과 성공 가능성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싸이의 ‘강남스타일’에서 강남이란 단어는 일반인에게 이중적인 묘한 인식, 즉 질시와 선망을 불러일으키고 한편으론 부유함을 상징하는 것이다. 우리 청년들에겐 질 높은 취업과 좋은 직장을 의미하는 싸이식 B급 취업스타일의 프로그램을 준비해야 할 때다.
이우영 < 기술교육대 능력개발교육원장 >
당면한 청년실업 해소를 위해 정부는 여러 부처에서 1조원이 넘는 여러 가지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대체로 세 유형의 청년실업대책을 추진하고 있는데, 첫째는 청년일자리 자체를 늘리는 대책으로 창업활성화, 공공부문 일자리 늘리기, 해외취업 활성화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둘째는 학교에서 직장으로의 연결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대책으로 취업정보제공, 기업맞춤식 직업교육, 청년인턴제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청년실업자 중에서도 취업역량이 약한 계층이나 지역을 대상으로 특화된 지원 사업을 벌인다. 이쯤 되면 그간 정부가 시행한 사업은 소위 해볼 건 다해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듯싶다. 이제는 이 땅의 대부분인 평범한 B급 인력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 정책방향을 설정해야 될 때다.
우선 청년층의 실업률을 완화하되 특히 고용유지율 관점에서 직장에서의 조직 및 직무적응성 강화를 통한 정착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둘째 우리나라 전체 고용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중소·중견기업으로의 취업 활성화를 위한 획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대학교육과 산업수요 간 미스매치 해소와 대졸자의 조직 및 직무 적응력 향상을 위한 주요 수단으로는 대학교육과정에 수요자가 직접 참여하는 기업실무 중심의 교육을 제공하고 기업체 현장실습을 포함해 직무체험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업과 재학생 간 양방향 교류가 적극적으로 이뤄지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는데, 고용노동부가 올해로 두 번째 시행하는 ‘청년취업아카데미’ 사업이 좋은 예다. 운영기관 중 하나인 경기중소기업연합회는 88개 업체가 사업 참여 협약을 맺고 인근의 전문대 재학생을 대상으로 4개월간 270여시간의 교육과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를 통해 직무능력의 현장성을 제고하고 취업역량을 강화하는 것이다.
아무리 잘 설계된 사업이라도 정부의 지원관리 구조 및 평가와 피드백이 부실하면 정권이 바뀔 때마다 없어지는 것이 정부 사업이다. 청년취업아카데미는 전국에 분포한 40여개의 한국산업인력공단 지부의 전담인력이 현장 모니터링을 하고 프로그램 수료자들은 3개월간의 고용유지 상태에서 70% 이상 취업률을 달성해야 운영성과를 인정받도록 지표를 설정해 놓았다. 따라서 다른 사업보다 실효성과 성공 가능성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싸이의 ‘강남스타일’에서 강남이란 단어는 일반인에게 이중적인 묘한 인식, 즉 질시와 선망을 불러일으키고 한편으론 부유함을 상징하는 것이다. 우리 청년들에겐 질 높은 취업과 좋은 직장을 의미하는 싸이식 B급 취업스타일의 프로그램을 준비해야 할 때다.
이우영 < 기술교육대 능력개발교육원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