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인수위에 "우리금융 일괄매각 재추진" 보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해야
금융위원회가 우리금융지주를 일괄 매각해 민영화하는 방안을 새 정부 출범 이후 추진하겠다고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보고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수위 핵심 관계자는 17일 “금융위가 우리금융을 경남은행 광주은행 등 자회사와 묶어 통째로 매각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보고해 왔다”고 밝혔다. 금융위의 일괄 매각 추진 방침은 일각에서 거론하던 ‘분리 매각’ 가능성에 쐐기를 박은 것으로 해석된다.
그동안 정치권과 지역 경제계 일각에서는 현 정부에서 진행한 세 차례의 우리금융 매각 입찰 가운데 두 차례 일괄 매각 시도가 모두 무산된 만큼 ‘새 정부가 광주은행과 경남은행 등 지방은행을 분리 매각해 민영화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금융위는 그러나 지난 15일 인수위 업무보고에서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국내 금융산업 발전 △조기 민영화 등 ‘우리금융 민영화 3대 원칙’을 충족하려면 분리 매각보다는 일괄 매각을 재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가장 중요한 원칙인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를 위해 분리 매각보다는 일괄 매각을 우선해야 한다는 의견을 개진했다는 전언이다.
이 관계자는 “실패한 방법(일괄 매각)을 다시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일부 의견이 나왔지만 인수위 차원에서 어떤 방침을 정한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금융위의 방침대로 일괄 매각 방식으로 우리금융 민영화 절차를 진행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정부는 이미 사모펀드 등에 우리금융을 한꺼번에 파는 통매각(2011년 5~8월, 2012년 4~8월)뿐만 아니라 경남은행과 광주은행을 쪼개서 파는 분할 매각(2010년 7~12월)을 시도했지만 모두 무산됐다.
시장 상황도 불투명하다. 거대 금융그룹을 인수할 주체가 마땅치 않아서다.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분사 예비인가 승인을 받은 우리카드를 포함해 지방은행, 우리투자증권 등 계열사를 쪼개 파는 것도 대안”이라며 “국민주 방식, 일반 공모를 통한 구주 매출, 희망 수량 경쟁 입찰, 블록세일 등 다양한 분산 매각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결국 우리금융 민영화 방식은 새 정부가 출범한 뒤 금융당국이 전체 금융권의 판을 어떻게 짜느냐에 따라 결정날 것으로 예상된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지난해 7월 KB금융지주가 우리금융 매각을 위한 입찰 참여를 적극 검토하고 있을 때 “우리금융 민영화는 다음 정권에서 논의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한 바 있다.
김주완/류시훈 기자 bada@hankyung.com
인수위 핵심 관계자는 17일 “금융위가 우리금융을 경남은행 광주은행 등 자회사와 묶어 통째로 매각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보고해 왔다”고 밝혔다. 금융위의 일괄 매각 추진 방침은 일각에서 거론하던 ‘분리 매각’ 가능성에 쐐기를 박은 것으로 해석된다.
그동안 정치권과 지역 경제계 일각에서는 현 정부에서 진행한 세 차례의 우리금융 매각 입찰 가운데 두 차례 일괄 매각 시도가 모두 무산된 만큼 ‘새 정부가 광주은행과 경남은행 등 지방은행을 분리 매각해 민영화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금융위는 그러나 지난 15일 인수위 업무보고에서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국내 금융산업 발전 △조기 민영화 등 ‘우리금융 민영화 3대 원칙’을 충족하려면 분리 매각보다는 일괄 매각을 재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가장 중요한 원칙인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를 위해 분리 매각보다는 일괄 매각을 우선해야 한다는 의견을 개진했다는 전언이다.
이 관계자는 “실패한 방법(일괄 매각)을 다시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일부 의견이 나왔지만 인수위 차원에서 어떤 방침을 정한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금융위의 방침대로 일괄 매각 방식으로 우리금융 민영화 절차를 진행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정부는 이미 사모펀드 등에 우리금융을 한꺼번에 파는 통매각(2011년 5~8월, 2012년 4~8월)뿐만 아니라 경남은행과 광주은행을 쪼개서 파는 분할 매각(2010년 7~12월)을 시도했지만 모두 무산됐다.
시장 상황도 불투명하다. 거대 금융그룹을 인수할 주체가 마땅치 않아서다.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분사 예비인가 승인을 받은 우리카드를 포함해 지방은행, 우리투자증권 등 계열사를 쪼개 파는 것도 대안”이라며 “국민주 방식, 일반 공모를 통한 구주 매출, 희망 수량 경쟁 입찰, 블록세일 등 다양한 분산 매각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결국 우리금융 민영화 방식은 새 정부가 출범한 뒤 금융당국이 전체 금융권의 판을 어떻게 짜느냐에 따라 결정날 것으로 예상된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지난해 7월 KB금융지주가 우리금융 매각을 위한 입찰 참여를 적극 검토하고 있을 때 “우리금융 민영화는 다음 정권에서 논의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한 바 있다.
김주완/류시훈 기자 bad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