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3년·현장 1년 '대학 도제' 도입 필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청년취업난 이렇게 풀자"…한경·직업능력개발원 '일자리 활성화 세미나'
산업현장 투입 가능한 실무능력 중요
교육과 일자리 연계 NCS 확대해야
산업현장 투입 가능한 실무능력 중요
교육과 일자리 연계 NCS 확대해야
“한국의 청년 일자리 창출 경쟁력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입니다. 청년 고용 확대를 위해 ‘대학 도제(徒弟) 제도’ 도입 등 현장 맞춤형 인재 양성에 주력해야 합니다.” (권순원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
한국경제신문과 한경잡앤스토리,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공동 주최한 ‘새정부 청년 일자리 활성화 및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운영에 관한 세미나’가 31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렸다. 학계 전문가와 정부 관계자, 기업 인사 담당자 등이 참석한 이날 세미나에선 청년 고용 확대를 위해 새 정부가 추진할 만한 의미있는 정책 대안들이 다양하게 제시됐다.
◆과다한 스펙보다 현장 실무능력 중요
세미나 참석자들은 한국의 청년 일자리 창출 경쟁력이 OECD 주요 국가 중 최하위권이라고 입을 모았다. 글로벌컨설팅회사인 모니터그룹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청년 일자리 창출 종합경쟁력은 OECD 주요 20개국 중 16위였다. 직업교육, 정부 제도 및 규제, 고용인프라 분야에서 최하위권에 그쳤기 때문이다.
참석자들은 청년 고용 경쟁력이 저조한 원인으로 △70%가 넘는 높은 대학진학률 △학생 취업 위한 대학의 자율적 노력 미흡 △정부 주도형 산학협력 체계로 산업계 수요 괴리 △창업교육에 대한 인식 미비 등을 공통적으로 꼽았다.
첫 주제발표자로 나선 권 교수는 “산업 현장 체험을 통한 대학단계 도제 제도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3년은 학교에서 배우고 1년은 기업에서 일을 하는 ‘3+1’ 도제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취업 중심 문화 정착을 위한 대학의 자발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박철우 한국산업기술대 교수는 “학생들이 불필요한 스펙을 쌓는 것보다 현장 실무 능력을 키우는 게 중요하다”며 “학생들을 위한 대학의 취업 능력을 키우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인 ‘고용률 70% 달성’에 대해선 회의적인 시각도 제기됐다. 윤기설 한국경제신문 좋은일터연구소장은 “고용률 70%에 얽매일 경우 재정을 투입해 자칫 사회적 일자리만 창출하면서 청년들에게 피해가 갈 수 있다”며 “고용의 질적인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정식 한국노총 중앙연구원장도 “국내 고용 현실상 고용률 70%에 집착하면 질 낮은 일자리만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현장맞춤형 인재 기를 NCS 확대해야
참석자들은 현장 맞춤형 인재 양성을 위한 NCS 확대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NCS는 교육과 일자리를 연계하기 위해 모든 직종에 요구되는 직무능력을 정부가 표준화한 제도다. 졸업장·학위 등 교육과 자격증, 직업훈련, 직무 경력 등이 서로 인정되는 통합 국가역량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박 당선인도 일자리 중심의 교육을 위해 NCS 구축을 강조하고 있다.
강순희 경기대 교수는 “청년들의 실무 역량을 평가할 국가 표준의 직무능력 체계가 없다보니 기업들이 학벌에만 의존해왔다”고 지적했다. 이 원장은 “청년들이 직무능력은 외면한 채 쓸데없는 스펙에만 매달리는 건 한국이 유일하다”고 비판했다.
정향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NCS 개발운영지원센터 소장은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직무능력을 갖추기 위해선 국가가 산업 전 분야에 직업능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 국가직무능력표준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기술·소양 등의 내용을 국가가 산업 부문별·수준별로 체계화한 것. 정부는 2002년 이 사업을 시작해 지난해까지 총 332개의 NCS를 구축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한국경제신문과 한경잡앤스토리,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공동 주최한 ‘새정부 청년 일자리 활성화 및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운영에 관한 세미나’가 31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렸다. 학계 전문가와 정부 관계자, 기업 인사 담당자 등이 참석한 이날 세미나에선 청년 고용 확대를 위해 새 정부가 추진할 만한 의미있는 정책 대안들이 다양하게 제시됐다.
◆과다한 스펙보다 현장 실무능력 중요
세미나 참석자들은 한국의 청년 일자리 창출 경쟁력이 OECD 주요 국가 중 최하위권이라고 입을 모았다. 글로벌컨설팅회사인 모니터그룹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청년 일자리 창출 종합경쟁력은 OECD 주요 20개국 중 16위였다. 직업교육, 정부 제도 및 규제, 고용인프라 분야에서 최하위권에 그쳤기 때문이다.
참석자들은 청년 고용 경쟁력이 저조한 원인으로 △70%가 넘는 높은 대학진학률 △학생 취업 위한 대학의 자율적 노력 미흡 △정부 주도형 산학협력 체계로 산업계 수요 괴리 △창업교육에 대한 인식 미비 등을 공통적으로 꼽았다.
첫 주제발표자로 나선 권 교수는 “산업 현장 체험을 통한 대학단계 도제 제도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3년은 학교에서 배우고 1년은 기업에서 일을 하는 ‘3+1’ 도제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취업 중심 문화 정착을 위한 대학의 자발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박철우 한국산업기술대 교수는 “학생들이 불필요한 스펙을 쌓는 것보다 현장 실무 능력을 키우는 게 중요하다”며 “학생들을 위한 대학의 취업 능력을 키우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인 ‘고용률 70% 달성’에 대해선 회의적인 시각도 제기됐다. 윤기설 한국경제신문 좋은일터연구소장은 “고용률 70%에 얽매일 경우 재정을 투입해 자칫 사회적 일자리만 창출하면서 청년들에게 피해가 갈 수 있다”며 “고용의 질적인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정식 한국노총 중앙연구원장도 “국내 고용 현실상 고용률 70%에 집착하면 질 낮은 일자리만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현장맞춤형 인재 기를 NCS 확대해야
참석자들은 현장 맞춤형 인재 양성을 위한 NCS 확대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NCS는 교육과 일자리를 연계하기 위해 모든 직종에 요구되는 직무능력을 정부가 표준화한 제도다. 졸업장·학위 등 교육과 자격증, 직업훈련, 직무 경력 등이 서로 인정되는 통합 국가역량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박 당선인도 일자리 중심의 교육을 위해 NCS 구축을 강조하고 있다.
강순희 경기대 교수는 “청년들의 실무 역량을 평가할 국가 표준의 직무능력 체계가 없다보니 기업들이 학벌에만 의존해왔다”고 지적했다. 이 원장은 “청년들이 직무능력은 외면한 채 쓸데없는 스펙에만 매달리는 건 한국이 유일하다”고 비판했다.
정향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NCS 개발운영지원센터 소장은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직무능력을 갖추기 위해선 국가가 산업 전 분야에 직업능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 국가직무능력표준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기술·소양 등의 내용을 국가가 산업 부문별·수준별로 체계화한 것. 정부는 2002년 이 사업을 시작해 지난해까지 총 332개의 NCS를 구축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