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약체결 잉크 마르기도 전에…현대차 노조, 주말 특근 거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주간2교대제' 합의해 놓고 심야근무처럼 할증 요구
현대자동차 노조가 회사 창립 46년 만에 처음 도입된 ‘주간 연속 2교대제’에서 처음 실시되는 주말특근을 전면 거부하고 나서 회사 측은 물론 조합원들의 강한 반발을 사고 있다.
노조는 회사 측이 주간 2교대제 도입 이전 주말에 적용했던 최고 350%의 심야 할증수당과 생산량 증대에 따른 추가 임금보전을 수용하지 않아 9일 계획된 주말특근을 하지 않겠다고 8일 밝혔다.
노사는 이에 앞서 근무형태변경추진위원회 회의를 열고 종전 14시간 철야근무(오후 5시~다음날 오전 8시) 체제였던 주말특근 형태를 지난 4일부터 시작된 주간 2교대 체제에 따라 평일과 같은 주간1조 8시간·주간2조 9시간의 ‘8+9’ 근무 형태로 변경키로 합의했다. 노조는 그러나 주말특근 시간이 종전보다 3시간 추가로 늘어나고 UPH(시간당 생산 대수) 상승으로 노동 강도도 크게 강화됐다며 추가 임금보전을 요구하고 나서 회사 측과 갈등을 빚고 있다.
회사 측 관계자는 “노조가 근로자들의 건강권을 챙기기 위해 주간 2교대제를 도입해놓고 주말특근에 대해 과거 심야근무 때와 같은 할증수당을 요구하는 것은 현실성이 없다”고 비판했다. 회사 측은 당장 노조의 주말특근 거부로 차량 6800여대의 생산 차질을 떠안게 됐다.
일반 조합원들도 노조의 방침에 대해 “밤샘 근무 폐지로 조합원의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됐고 여가 선용도 하게 됐는데 또다시 임금보전 문제를 놓고 갈등을 빚으면 ‘배부른 귀족노조’로 비판받을 수 있다”며 자제를 촉구했다.
이런 가운데 노조 내 현장 조직들도 주말특근 시 임금보전과 함께 무리한 인원 충원 요구까지 하고 나서 노사 간 협상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울산공장의 한 조합원은 “협약 체결 잉크도 마르기 전에 벌써부터 주간 2교대제를 뿌리부터 흔들어대는 것은 9월 집행부 선거를 앞두고 자신들의 기득권을 확보하려는 술책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노동 전문가들은 “주간 2교대제 도입으로 연간 18만여대의 생산량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또다시 인원 충원과 임금보전을 요구하는 행위는 사실상 주간 2교대를 하지 말자는 주장과 같다”며 “이제 장시간 근로 체제가 폐지됐으니 과거의 비효율적 특근 운영 방식도 개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
노조는 회사 측이 주간 2교대제 도입 이전 주말에 적용했던 최고 350%의 심야 할증수당과 생산량 증대에 따른 추가 임금보전을 수용하지 않아 9일 계획된 주말특근을 하지 않겠다고 8일 밝혔다.
노사는 이에 앞서 근무형태변경추진위원회 회의를 열고 종전 14시간 철야근무(오후 5시~다음날 오전 8시) 체제였던 주말특근 형태를 지난 4일부터 시작된 주간 2교대 체제에 따라 평일과 같은 주간1조 8시간·주간2조 9시간의 ‘8+9’ 근무 형태로 변경키로 합의했다. 노조는 그러나 주말특근 시간이 종전보다 3시간 추가로 늘어나고 UPH(시간당 생산 대수) 상승으로 노동 강도도 크게 강화됐다며 추가 임금보전을 요구하고 나서 회사 측과 갈등을 빚고 있다.
회사 측 관계자는 “노조가 근로자들의 건강권을 챙기기 위해 주간 2교대제를 도입해놓고 주말특근에 대해 과거 심야근무 때와 같은 할증수당을 요구하는 것은 현실성이 없다”고 비판했다. 회사 측은 당장 노조의 주말특근 거부로 차량 6800여대의 생산 차질을 떠안게 됐다.
일반 조합원들도 노조의 방침에 대해 “밤샘 근무 폐지로 조합원의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됐고 여가 선용도 하게 됐는데 또다시 임금보전 문제를 놓고 갈등을 빚으면 ‘배부른 귀족노조’로 비판받을 수 있다”며 자제를 촉구했다.
이런 가운데 노조 내 현장 조직들도 주말특근 시 임금보전과 함께 무리한 인원 충원 요구까지 하고 나서 노사 간 협상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울산공장의 한 조합원은 “협약 체결 잉크도 마르기 전에 벌써부터 주간 2교대제를 뿌리부터 흔들어대는 것은 9월 집행부 선거를 앞두고 자신들의 기득권을 확보하려는 술책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노동 전문가들은 “주간 2교대제 도입으로 연간 18만여대의 생산량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또다시 인원 충원과 임금보전을 요구하는 행위는 사실상 주간 2교대를 하지 말자는 주장과 같다”며 “이제 장시간 근로 체제가 폐지됐으니 과거의 비효율적 특근 운영 방식도 개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