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승우 원장 "70년대 새마을운동은 '우리부터 잘살자'
“새마을운동의 의미가 확장되고 있습니다. 기존 근면·자조 정신에 나눔이 더해졌어요. 글로벌 상생을 위한 세계적 브랜드로 키워야 합니다.”

새마을의 날(4월22일)을 맞아 박승우 영남대 박정희정책새마을대학원장(사진)이 21일 한국경제신문과 인터뷰를 했다. 박 원장은 “1970년대 새마을운동은 ‘나, 우리 마을부터 잘 살아보자’였다면 이젠 다른 개발도상국에 한국의 개발 경험을 전수해 ‘다 함께 잘 살자’는 새로운 시대정신이 됐다”고 새마을의 날의 의미를 부여했다. 새마을의 날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70년 4월22일 ‘새마을가꾸기운동’을 공식 제창한 날을 기념하고 새마을운동에 대한 관심을 되살리기 위해 2011년 국가기념일로 제정됐다.

박 원장은 ‘지구촌 공존·공영’을 지금의 시대정신으로 규정했다. ‘새마을운동 2.0’은 이 같은 시대정신을 그대로 담고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기본정신인 ‘근면·자조·협동’이 ‘새마을운동 1.0’이라면 여기에 ‘나눔·봉사·창조’를 더한 게 ‘새마을운동 2.0’이라는 얘기다. 박 원장은 “치열한 경쟁으로 사회가 각박해지면서 나보다 남, 개인보다 전체를 배려하는 공동체적 삶의 가치가 다시 부각되고 있다”며 최근 새마을운동이 주목받고 있는 이유를 설명했다.

박 원장은 지난 2월 박정희정책새마을대학원 2대 원장에 올랐다. 석사 과정인 이 대학원에선 개발도상국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새마을운동의 정신과 추진 방법을 가르쳐 개발도상국의 빈곤 퇴치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새마을운동 세계화’의 전초기지인 셈이다.

필리핀 방글라데시 네팔 캄보디아 등 15개국에서 온 30명이 1기생으로 공부하고 있고, 지난달엔 에티오피아 아프가니스탄 등 12개국 33명이 2기생으로 합류했다.

박 원장은 “개발도상국에 새마을운동을 전수하는 것은 과거에 받았던 원조를 되갚는다는 의미도 있지만 한국의 위상을 높이고 잠재적인 경제영토를 넓힌다는 측면에서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새마을운동 세계화는 두 가지 방법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박 원장은 밝혔다. “첫째 개발도상국 공무원, 사회활동가 등을 한국에서 교육한 뒤 자국으로 돌려보내는 방법입니다. 또 체계적인 새마을교육을 받은 한국 청년들이 해외로 나가 새마을 경험을 전수하는 방법도 필요합니다.”

박 원장은 “물량 제공 중심의 저개발국 지원은 효율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공적개발원조(ODA)에 새마을운동의 성공 노하우를 결합시켜 실질적인 성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덧붙였다.

대구=김덕용기자 kimd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