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교 직업교육부터 글로벌 마인드 심어줘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직능원 'FTA 인재포럼'…해외취업 활성화 방안 제시
언어능력·국제 자격증 등 근로자 경쟁력 필수
교민사회와 연계 이주·현지정착 맞춤 정보 제공
언어능력·국제 자격증 등 근로자 경쟁력 필수
교민사회와 연계 이주·현지정착 맞춤 정보 제공
해외 취업을 확대하려면 일자리는 물론 현지 정착여건과 추가 직무교육 정보까지 정교하게 제공하는 취업정보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 일선 학교들이 해외 취업에 필요한 언어능력 향상과 기술교육, 자격증 취득 등을 지원해야 해외 취업이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과 한국경제신문이 23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공동개최한 ‘제3회 FTA 인재포럼’에서 송영중 한국산업인력공단 이사장은 “이명박정부의 글로벌 일자리 사업을 통해 2009년부터 4년간 5만명이 해외로 진출했지만 정부 주도의 단기 일자리 사업으로 반성할 부분이 많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교한 취업정보 제공해야
송 이사장은 주제 발표에서 “해외 일자리 정보뿐 아니라 이동의 제약요인도 풀어줘야 했지만 그동안 이 기능이 매우 취약했다”며 “글로벌 취업에 필요한 장단기 정보를 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유럽연합(EU)과 스위스 등 유럽지역 31개 국가가 참여해 유럽 근로자들의 자유로운 이동을 지원하는 유럽취업포털(EURES) 같은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EURES는 850명의 상담사가 근무하면서 150만개에 달하는 일자리정보뿐 아니라 이주와 현지 정착에 필요한 생활정보까지 제공하고 있다. 송 원장은 “연매출 160억달러에 1만여명의 헤드헌터를 보유한 미국 맨파워사나 60개국에 5500개 지사를 보유한 스위스 아데코그룹처럼 글로벌 리크루팅 업체를 국내에서도 육성하고 KOTRA 등의 네트워크를 연계한 민ㆍ관 해외진출지원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우기훈 KOTRA 부사장은 “수천억원을 들인 ‘10만 글로벌 리더 양성 사업’이 성과가 없었다는 데 한마디로 요약하면 공급자 위주의 밀어내기식 일자리 창출이었기 때문”이라며 “700만 해외동포가 글로벌 멘토 역할을 하도록 교민사회와 연계하고 해외인력 수요를 발굴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상봉 국제무역연구원 원장은 “브라질 등 중남미에서는 인력수요가 많으나 취업정보가 부족하다”며 지역별 맞춤형 정보 제공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전문성·언어 교육 강화해야
해외 진출을 위해서는 전문성과 언어능력을 갖추도록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송 이사장은 “근로자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며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자격증 체제를 갖추는 것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권대봉 고려대 교수는 “박근혜정부가 추진하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은 국내시장에 필요한 자격만 갖추는 것이 아니라 해외에서도 통용될 수 있는 표준화 작업으로 추진해야 해외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원기찬 삼성전자 부사장도 “정보기술, 의료, 한류 엔터테인먼트 등 우리가 강한 부분을 집중 육성하면 해외 일자리를 많이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현천욱 김앤장법률사무소 변호사는 “중ㆍ고교 때부터 직업탐구교육과 함께 글로벌 리더가 되겠다는 마인드를 심어줘야 한다”며 “현지에 적응할 수 있는 현지화 능력 등도 교육에 포함시켜 어렸을 때부터 해외 진출을 준비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철영 서울대 교수도 “초ㆍ중ㆍ고교 단계에서 세계를 지향하는 태도를 갖추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박송완 롯데인재개발원 부사장은 “이력서에 한줄 쓰기 위해 아프리카로 해외봉사를 가는 등 지난 10년간 스펙이 거론돼 왔으나 기업 입장에서는 고비용이고 소모적이라는 생각이 든다”며 “표면적 스펙보다는 실질적으로 일할 역량, 자신만의 필살기를 갖추도록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송병준 산업연구원 원장은 “중국에 있는 한국계 기업에 진출했다가 모로코에서 일자리를 찾은 한국인을 본 적이 있다”며 “한 곳에만 영구 거주하기보다는 여러 나라로 이동할 수 있는 다차원 글로벌화로 해외 취업을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태웅/양병훈 기자 redael@hankyung.com
한국직업능력개발원과 한국경제신문이 23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공동개최한 ‘제3회 FTA 인재포럼’에서 송영중 한국산업인력공단 이사장은 “이명박정부의 글로벌 일자리 사업을 통해 2009년부터 4년간 5만명이 해외로 진출했지만 정부 주도의 단기 일자리 사업으로 반성할 부분이 많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교한 취업정보 제공해야
송 이사장은 주제 발표에서 “해외 일자리 정보뿐 아니라 이동의 제약요인도 풀어줘야 했지만 그동안 이 기능이 매우 취약했다”며 “글로벌 취업에 필요한 장단기 정보를 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유럽연합(EU)과 스위스 등 유럽지역 31개 국가가 참여해 유럽 근로자들의 자유로운 이동을 지원하는 유럽취업포털(EURES) 같은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EURES는 850명의 상담사가 근무하면서 150만개에 달하는 일자리정보뿐 아니라 이주와 현지 정착에 필요한 생활정보까지 제공하고 있다. 송 원장은 “연매출 160억달러에 1만여명의 헤드헌터를 보유한 미국 맨파워사나 60개국에 5500개 지사를 보유한 스위스 아데코그룹처럼 글로벌 리크루팅 업체를 국내에서도 육성하고 KOTRA 등의 네트워크를 연계한 민ㆍ관 해외진출지원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우기훈 KOTRA 부사장은 “수천억원을 들인 ‘10만 글로벌 리더 양성 사업’이 성과가 없었다는 데 한마디로 요약하면 공급자 위주의 밀어내기식 일자리 창출이었기 때문”이라며 “700만 해외동포가 글로벌 멘토 역할을 하도록 교민사회와 연계하고 해외인력 수요를 발굴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상봉 국제무역연구원 원장은 “브라질 등 중남미에서는 인력수요가 많으나 취업정보가 부족하다”며 지역별 맞춤형 정보 제공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전문성·언어 교육 강화해야
해외 진출을 위해서는 전문성과 언어능력을 갖추도록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송 이사장은 “근로자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며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자격증 체제를 갖추는 것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권대봉 고려대 교수는 “박근혜정부가 추진하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은 국내시장에 필요한 자격만 갖추는 것이 아니라 해외에서도 통용될 수 있는 표준화 작업으로 추진해야 해외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원기찬 삼성전자 부사장도 “정보기술, 의료, 한류 엔터테인먼트 등 우리가 강한 부분을 집중 육성하면 해외 일자리를 많이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현천욱 김앤장법률사무소 변호사는 “중ㆍ고교 때부터 직업탐구교육과 함께 글로벌 리더가 되겠다는 마인드를 심어줘야 한다”며 “현지에 적응할 수 있는 현지화 능력 등도 교육에 포함시켜 어렸을 때부터 해외 진출을 준비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철영 서울대 교수도 “초ㆍ중ㆍ고교 단계에서 세계를 지향하는 태도를 갖추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박송완 롯데인재개발원 부사장은 “이력서에 한줄 쓰기 위해 아프리카로 해외봉사를 가는 등 지난 10년간 스펙이 거론돼 왔으나 기업 입장에서는 고비용이고 소모적이라는 생각이 든다”며 “표면적 스펙보다는 실질적으로 일할 역량, 자신만의 필살기를 갖추도록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송병준 산업연구원 원장은 “중국에 있는 한국계 기업에 진출했다가 모로코에서 일자리를 찾은 한국인을 본 적이 있다”며 “한 곳에만 영구 거주하기보다는 여러 나라로 이동할 수 있는 다차원 글로벌화로 해외 취업을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태웅/양병훈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