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2.7% 성장 어렵다" 45%…11일 금통위…전원 "금리동결 할 것"
국내 대표 경제전문가들로 이뤄진 한경이코노미스트클럽 회원의 절반가량(45%)은 올해 한국 경제가 정부 전망치(2.7%)만큼 성장하기 힘들 것으로 내다봤다. 하반기 가장 위협적인 대외 요인으로는 중국의 경기 침체와 유동성 위기를 꼽았다.

한국경제신문이 7일 한경이코노미스트클럽 회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 20명 중 9명은 “올해 경제성장률 2.7% 달성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임동필 신한FSB연구소 금융시장팀장은 “2.7%가 되려면 설비투자가 큰 폭으로 증가해야 하는데 대외 여건이 불확실해 하반기 기업의 투자환경이 크게 호전되기 어렵다”고 전망했다. 김성태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도 “세계 경제 및 내수 회복세가 미약한 가운데 양적완화 축소 가능성 등 대외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2.7% 성장률을 기록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한국경제연구원은 민간경제연구소 중 가장 낮은 2.3%를 올 경제성장률로 제시하고 있다. 한국은행, KDI, 현대경제연구원 등은 정부 전망치보다 낮은 2.6%를 예상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오는 11일 올 경제성장률 수정치를 내 놓는다.

반면 20명 중 10명은 “올해 경제성장률은 2.7% 이상일 것”이라고 답했다. 장보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금융시장팀장은 “하반기 대외 환경이 악화될 가능성이 낮고, 대내적으로도 정부의 경기부양 여력을 감안할 때 하반기 경제는 완만한 회복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승훈 삼성증권 책임연구위원은 “만약 경기회복이 예상보다 부진할 경우 정부가 추가 부양책을 동원해 성장률을 끌어올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나머지 1명은 하반기 경제 상황에 따라 달성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고 가능성을 모두 열어뒀다.

한국 경제에 가장 위협적인 대외 위험 요인(복수 응답)으로는 20명 중 14명(70%)이 중국의 경기 침체와 유동성 위기를 꼽았다. 그 다음이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35%), 아베노믹스(15%) 순이었다. 이 중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에 대해 20명 중 12명(60%)은 “한국 금융시장에는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실물경제엔 큰 타격이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난달 벤 버냉키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의 미 양적완화 축소 발표로 한국 주가와 채권, 원화 가치가 급락했지만 실물 경제를 끌어내릴 정도는 아닐 것이라는 진단이다. 4명(20%)은 출구전략이 시작돼도 “한국 실물경제는 물론 금융시장도 비교적 안정적일 것”이라고 답했다.

박근혜 정부가 펼친 상반기 경제정책 중 가장 잘한 것으론 응답자 중 80%가 추가경정예산 편성이라고 답했다. 2명(10%)이 4·1부동산 대책, 2명(10%)은 수출 중소기업 지원대책을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하반기 정부가 가장 역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정책(복수응답)으로 꼽힌 것은 외화유동성 등 대외 불안관리(8명), 일자리 창출(5명), 신성장동력 확보(4명), 가계부채 관리(4명) 등이었다.

오는 11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전원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했다. 19명(95%)은 또 금통위가 올해 더 이상 기준금리를 조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선태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거시금융팀장은 “미국 양적완화 축소로 외국인 자금 유출 가능성이 큰 상황에서 금리까지 내리면 유출이 더 심해질 수 있다”고 했다. 이상재 현대증권 경제분석부장은 “엔저 압력이 남아 있긴 하지만 외국인 자금 유출에 대비해 연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