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활력 잃은 수도권…늙어가고 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젊은층 유입 줄고 고령화 속도 지방보다 빨라
LG경제硏 보고서
일자리 창출 능력 역전…청년실업률 더 높아
日, 수도권 규제 완화로 '도쿄 부활' 주목할 때
LG경제硏 보고서
일자리 창출 능력 역전…청년실업률 더 높아
日, 수도권 규제 완화로 '도쿄 부활' 주목할 때
‘젊은 수도권, 늙은 지방’이라는 당연한 인식을 버릴 때가 된 걸까. 서울로 몰려드는 젊은이의 행렬이 시들해졌고, 고령화 속도는 수도권이 지방보다 빠르다. 부쩍 늙은 수도권의 근본 문제는 역시 경제적 활력이다. 규제 완화와 부동산 시장 안정에 힘입어 청춘을 되찾은 일본 도쿄에 주목할 때다.
○젊은 층이 서울을 떠난다
일반적으로 수도권은 고령화 속도가 느리다. 젊은이들이 일과 사업 기회를 찾아 끊임없이 들어오기 때문이다. 지금도 65세 이상 고령자의 인구 비중은 전남(21%) 경북(17%) 등이 서울(10%) 경기(9%)보다 높다. 하지만 심상찮은 변화도 나타나고 있다.
1일 LG경제연구원의 ‘수도권이 늙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들어 수도권의 고령화 속도는 지방을 앞지르기 시작했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고령층 인구는 2000년 120만명에서 2012년 240만명으로 늘어나 연평균 5.9%의 증가율을 보였다. 비수도권의 3.9%를 웃돈다.
이는 1970~1980년대 수도권으로 몰려온 당시 젊은이들이 2000년 즈음부터 은퇴를 맞은 것과 관련 깊다. 과거엔 나이가 들면 귀향을 많이 했지만 지금은 자녀의 집이나 수도권 요양시설을 찾는 게 일반적이다.
젊은이들도 무턱대고 서울을 찾지 않는다. 20~30대의 수도권 순유입(유입인구-유출인구) 규모는 2000년 12만명에서 2012년 4만명으로 세 토막이 났다. 특히 30대에서는 2008년부터 순유출로 전환, 수도권에서 빠져 나간 인구가 들어온 인구보다 8000명(2012년 기준) 많을 정도다. 게다가 출산율은 서울이 1.06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낮다.
○일자리 찾아 충남·울산으로
균형발전 취지에서 보면 수도권이 젊은 기운을 독점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낮아진 경제활력 탓에 이렇게 된 것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2001년을 기점으로 비수도권의 경제성장률은 수도권을 앞지르기 시작했다. 2000~2011년 수도권의 평균 경제성장률은 6.5%로 수도권의 7.0%를 밑돈다.
이렇다 보니 일자리 창출 능력도 역전됐다. 서울·인천·경기의 연평균 취업자 수 증가율은 1999~2001년 3.0%에서 2010~2012년 2.0%로 하락했다. 반면 비수도권에선 같은 기간 1.5%에서 2.0%로 상승했다.
이에 따라 수도권의 청년실업률은 2001년 7%대에서 지난해 8.5%로 뛰었다. 비수도권보다 1.7%포인트 높다. 소득 기회는 줄었는데 주택가격은 오르면서 ‘탈수도권’을 더욱 부추겼다.
이혜림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수도권은 주택 보유율이 낮아 전세난 타격이 크고 교육비 등 지출 부담도 높다”며 “KTX 등 교통수단이 발전하면서 젊은 세대의 지방 정착이 흔해졌다”고 설명했다. 수도권을 빠져 나간 젊은 층은 일자리가 풍부하고 경제성장률이 높은 충남, 울산 등에 자리를 잡았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
○젊은 층이 서울을 떠난다
일반적으로 수도권은 고령화 속도가 느리다. 젊은이들이 일과 사업 기회를 찾아 끊임없이 들어오기 때문이다. 지금도 65세 이상 고령자의 인구 비중은 전남(21%) 경북(17%) 등이 서울(10%) 경기(9%)보다 높다. 하지만 심상찮은 변화도 나타나고 있다.
1일 LG경제연구원의 ‘수도권이 늙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들어 수도권의 고령화 속도는 지방을 앞지르기 시작했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고령층 인구는 2000년 120만명에서 2012년 240만명으로 늘어나 연평균 5.9%의 증가율을 보였다. 비수도권의 3.9%를 웃돈다.
이는 1970~1980년대 수도권으로 몰려온 당시 젊은이들이 2000년 즈음부터 은퇴를 맞은 것과 관련 깊다. 과거엔 나이가 들면 귀향을 많이 했지만 지금은 자녀의 집이나 수도권 요양시설을 찾는 게 일반적이다.
젊은이들도 무턱대고 서울을 찾지 않는다. 20~30대의 수도권 순유입(유입인구-유출인구) 규모는 2000년 12만명에서 2012년 4만명으로 세 토막이 났다. 특히 30대에서는 2008년부터 순유출로 전환, 수도권에서 빠져 나간 인구가 들어온 인구보다 8000명(2012년 기준) 많을 정도다. 게다가 출산율은 서울이 1.06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낮다.
○일자리 찾아 충남·울산으로
균형발전 취지에서 보면 수도권이 젊은 기운을 독점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낮아진 경제활력 탓에 이렇게 된 것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2001년을 기점으로 비수도권의 경제성장률은 수도권을 앞지르기 시작했다. 2000~2011년 수도권의 평균 경제성장률은 6.5%로 수도권의 7.0%를 밑돈다.
이렇다 보니 일자리 창출 능력도 역전됐다. 서울·인천·경기의 연평균 취업자 수 증가율은 1999~2001년 3.0%에서 2010~2012년 2.0%로 하락했다. 반면 비수도권에선 같은 기간 1.5%에서 2.0%로 상승했다.
이에 따라 수도권의 청년실업률은 2001년 7%대에서 지난해 8.5%로 뛰었다. 비수도권보다 1.7%포인트 높다. 소득 기회는 줄었는데 주택가격은 오르면서 ‘탈수도권’을 더욱 부추겼다.
이혜림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수도권은 주택 보유율이 낮아 전세난 타격이 크고 교육비 등 지출 부담도 높다”며 “KTX 등 교통수단이 발전하면서 젊은 세대의 지방 정착이 흔해졌다”고 설명했다. 수도권을 빠져 나간 젊은 층은 일자리가 풍부하고 경제성장률이 높은 충남, 울산 등에 자리를 잡았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