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칼럼] 한국서 산학협력이 안되는 진짜 이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논문用이 대부분인 대학내 장비
중기 제품개발 지원은 극히 미미
'실용연구' 獨 협력사례 참조해야
유지수 < 국민대 총장 jisoo@kookmin.ac.kr >
중기 제품개발 지원은 극히 미미
'실용연구' 獨 협력사례 참조해야
유지수 < 국민대 총장 jisoo@kookmin.ac.kr >
![[다산칼럼] 한국서 산학협력이 안되는 진짜 이유](https://img.hankyung.com/photo/201402/AA.8349629.1.jpg)
독일은 한국과도 비슷한 점이 있다. 2차대전 후 분단된 국가이며, 제조업 기반 경제라는 점에서다. 지멘스, 바스프, 폭스바겐, BMW, 보쉬 같은 세계적인 엔지니어링, 화학, 자동차 업체 등 제조업 중심 기업이 독일 경제를 주도하고 있다. 독일은 이들 기업 덕택에 국내총생산(GDP) 규모로 세계 4위를 기록하고 있다. 통일 독일이 잘 운영되는 이유도 엔지니어링과 제조기반에서 형성된 탄탄한 경제력 덕택으로 설명된다. 이런 점은 한국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국도 통일에 대비하기 위해 경제부터 살려야 한다는 것이다. 경제·사회적으로 북한과 물리적 결합이 아닌 화학적 융합을 이루려면 돈이 필요하다. 독일처럼 건강한 경제구조를 갖춰야 통일 이후 북한의 재건을 위한 기금을 마련할 수 있다.
독일 중소기업은 인력난을 대학과의 산학협력으로 일부 해소한다. 독일에서 산학협력이 잘 되는 이유로 출연연구소 대학 기업의 연결을 들지만, 더 중요한 것은 그 밑바탕에 깔려 있는 산학협력 인프라다.
독일 대학들은 기업이 제품개발 기간을 단축하는 데 필요한 각종 시험 설비를 갖추고 있다. 반면 한국 대학에는 제품개발 기간 단축과 관련된 설비가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우리 대학들은 예외 없이 논문을 쓰는 데 필요한 설비 위주로 갖추고 있다. 대학의 연구장비가 산학협력에 사용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 이것이 한국에서 산학협력이 형식적으로 끝나는 이유다.
대학의 구조는 정부 평가에 의해 변하기 마련이다. 논문 수를 중시하는 정부의 대학 평가 탓에 한국 대학은 ‘논문 양산의 늪’에 빠져 있다. 물론 논문 생산도 중요하지만 너무 치우쳐 있는 느낌이다. 그래서 정작 경제의 빈 곳을 메워줄 수 있는 ‘실용연구’ 기능은 매우 약화돼 있다. 정부의 대학 평가에 산학협력 인프라 구축 여부를 반영해야 하는 이유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최근 한국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양극화 문제 해결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산학협력을 더 활성화해 중소기업을 살려야 경제가 살고, 경제가 살아야 통일에도 대비할 수 있다. ‘통일 대박’을 위해 해야 할 것이 너무도 많다.
유지수 < 국민대 총장 jisoo@kookmin.ac.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