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공직 '여성 품귀'…1·2급 한 명도 없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8일 세계 여성의 날…지방 女공무원 '유리천장' 여전
1995년 지방선거 실시 후 여성 광역단체장 '제로'
1995년 지방선거 실시 후 여성 광역단체장 '제로'
지난해 12월 발표된 서울시 7·9급 공무원 시험 최종 합격자 1248명 중 여성은 824명으로 66.0%였다. 정부 수립 이듬해인 1949년 공무원 시험 시행 이래 국가·지방직 통틀어 가장 높은 비율이다. 같은 시기 서울시 3급 이상 일반직 고위 공무원 64명 중 여성 간부는 단 2명에 불과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박원순 시장 취임 이후 승진 인사 때마다 여성 공무원을 발탁하려고 했지만 승진을 앞둔 여성 중간 간부를 찾기조차 힘들었다”고 털어놨다.
○여성 광역단체장 6회째 안 나올 듯
유엔이 정한 ‘세계여성의 날’이 8일로 106회를 맞지만 지방자치단체 및 지방 공직사회의 ‘여성 품귀’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정치권과 안전행정부 등에 따르면 ‘6·4 지방선거’에선 서울시장 선거에 출사표를 던진 이혜훈 새누리당 최고위원을 제외하면 주목할 만한 여성 광역자치단체장 후보를 찾기 어렵다. 이 최고위원은 당내 경선에서 정몽준 의원과 김황식 전 총리에 비해 열세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1995년 지방선거 실시 이후 6회째인 이번 선거에서도 여성 광역자치단체장이 나오기 힘들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기초자치단체장도 사정은 비슷하다. 2010년 5회 때 당선된 여성 기초단체장은 전체의 2.6%인 6명이었다. 2012년 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체 300명 중 15.7%인 47명의 여성이 당선된 것과 비교해도 낮은 수준이다.
지방선거 출마 후보자의 상당수가 공무원 출신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여성 지자체장 품귀는 여성 지방 고위공무원 품귀에서 비롯됐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안행부에 따르면 2012년 말 기준으로 17개 광역자치단체의 4급 이상 여성 공무원(일반직)은 164명으로 전체 2588명 중 6.3%다. 중앙부처 4급 이상 여성 공무원(611명)의 3분의 1에도 못 미친다.
일반직 지방공무원의 경우 고위공무원단인 1·2급 여성 공무원은 단 한 명도 없다. 중앙부처 고위공무원단 중 여성이 48명인 것과 비교된다. 전체 227개 기초 지자체 중 3급 이상 여성 고위 공무원을 둔 지역은 서울 중랑구, 경기 이천시, 부산 사하구 등 3곳뿐이다.
○지방 여성 인재도 적극 양성해야
김은주 한국여성정치연구소장은 “지방에서 더욱 두드러지는 남성 중심적 문화가 지방직 여성공무원들에게 유리천장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학연과 지연으로 얽매인 경우가 많은 지방 특성상 여성 공무원들이 끼어들기 힘들다는 지적도 많다.
문제는 앞으로도 지방 여성 인재들의 도약 가능성이 중앙부처에 비해 낮다는 점이다. 지방 공무원 시험에 합격하는 여성 공무원들이 많아졌지만 대부분은 고위공무원까지 20~30년 이상이 걸리는 7·9급들이다. 5급 공채 여성 합격자들은 중앙부처나 서울시를 지원하고 있다.
김 소장은 “지자체들의 남성 중심적 문화 속에선 여성들이 남성들과 동등한 기회를 얻기 어렵다”며 “기초의원 공천 시 남녀 비율을 의무적으로 1 대 1로 하는 등의 ‘적극적 우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여성 광역단체장 6회째 안 나올 듯
유엔이 정한 ‘세계여성의 날’이 8일로 106회를 맞지만 지방자치단체 및 지방 공직사회의 ‘여성 품귀’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정치권과 안전행정부 등에 따르면 ‘6·4 지방선거’에선 서울시장 선거에 출사표를 던진 이혜훈 새누리당 최고위원을 제외하면 주목할 만한 여성 광역자치단체장 후보를 찾기 어렵다. 이 최고위원은 당내 경선에서 정몽준 의원과 김황식 전 총리에 비해 열세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1995년 지방선거 실시 이후 6회째인 이번 선거에서도 여성 광역자치단체장이 나오기 힘들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기초자치단체장도 사정은 비슷하다. 2010년 5회 때 당선된 여성 기초단체장은 전체의 2.6%인 6명이었다. 2012년 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체 300명 중 15.7%인 47명의 여성이 당선된 것과 비교해도 낮은 수준이다.
지방선거 출마 후보자의 상당수가 공무원 출신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여성 지자체장 품귀는 여성 지방 고위공무원 품귀에서 비롯됐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안행부에 따르면 2012년 말 기준으로 17개 광역자치단체의 4급 이상 여성 공무원(일반직)은 164명으로 전체 2588명 중 6.3%다. 중앙부처 4급 이상 여성 공무원(611명)의 3분의 1에도 못 미친다.
일반직 지방공무원의 경우 고위공무원단인 1·2급 여성 공무원은 단 한 명도 없다. 중앙부처 고위공무원단 중 여성이 48명인 것과 비교된다. 전체 227개 기초 지자체 중 3급 이상 여성 고위 공무원을 둔 지역은 서울 중랑구, 경기 이천시, 부산 사하구 등 3곳뿐이다.
○지방 여성 인재도 적극 양성해야
김은주 한국여성정치연구소장은 “지방에서 더욱 두드러지는 남성 중심적 문화가 지방직 여성공무원들에게 유리천장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학연과 지연으로 얽매인 경우가 많은 지방 특성상 여성 공무원들이 끼어들기 힘들다는 지적도 많다.
문제는 앞으로도 지방 여성 인재들의 도약 가능성이 중앙부처에 비해 낮다는 점이다. 지방 공무원 시험에 합격하는 여성 공무원들이 많아졌지만 대부분은 고위공무원까지 20~30년 이상이 걸리는 7·9급들이다. 5급 공채 여성 합격자들은 중앙부처나 서울시를 지원하고 있다.
김 소장은 “지자체들의 남성 중심적 문화 속에선 여성들이 남성들과 동등한 기회를 얻기 어렵다”며 “기초의원 공천 시 남녀 비율을 의무적으로 1 대 1로 하는 등의 ‘적극적 우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